최씨음식법 ()

식생활
문헌
1600년대 초중반에, 저술된 신창맹씨 가문에서 전해오는 한글 음식 조리서.
문헌/고서
편찬 시기
1600년대 초중반
저자
해주최씨(海州崔氏)
소장처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최씨음식법은 1600년대 초중반에 저술된 신창맹씨 가문에서 전해오는 한글 음식 조리서이다. 『자손보전(子孫寶傳)』이라는 서첩(書帖) 속에 실려 있다. 저자는 해주최씨(海州崔氏)이며, 표제어는 20항의 음식 조리법인데, 떡, 찜, 침채류가 주를 이룬다.

정의
1600년대 초중반에, 저술된 신창맹씨 가문에서 전해오는 한글 음식 조리서.
저자 및 편자

저자는 신창맹씨(新昌孟氏) 가문 호군공파(護軍公派)의 2세손이며, 금산군수(錦山郡守)와 장흥부사(長興府使)를 지낸 맹세형(孟世衡, 15881656)의 정부인인 해주최씨(海州崔氏, 15911660)이다. 맨 첫장 오른쪽에 “高祖妣貞夫人海州崔氏手蹟 夫人辛卯生庚子殁享年七十(고조비정부인해주최씨수적 부인신묘생경자몰향년칠십)”이라 기록하여 해주최씨의 생몰년대를 명확히 밝히고 있다. 따라서 「최씨 음식법」의 저술 연대에 대한 기록은 없으나, 「최씨 음식법」의 저술 시기는 1600년대 초중반으로 추측된다.

서지사항

「최씨 음식법」은 『자손보전(子孫寶傳)』이라는 서첩(書帖) 속에 실려있는 한글 필사본이다. 『자손보전』의 크기는 가로 36.1㎝, 세로 28.5㎝이고, 표지 왼쪽 상단에 ‘子孫寶傳(자손보전)’이라 묵서되어 있고, 호접장(蝴蝶裝)으로 장정(裝幀)되어 있다. 「최씨 음식법」은 『자손보전』의 제일 첫 부분인데, 본문의 시작이 ‘의 치지ᄂᆞ니라’로 되어 있어 앞부분이 유실된 상태이다. 표제어는 20항의 음식조리법이다. 원문과 필름이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최씨 음식법’이라는 명칭은 박채린이 음식 조리법 부분을 분석한 내용을 논문으로 발표하며 명명한 것이다.

편찬 및 간행 경위

『자손보전』은 신창맹씨 가의 여인들이 쓴 한글 수적(手蹟) 34편을 모아 성첩한 서첩에 포함되어 있다. ‘子孫寶傳’이라는 글자의 의미대로 맹지대(孟至大, 1730~1793)가 고조비(高祖妣)로부터 맹흠구(孟欽耈)의 아내까지 270년간 7대에 걸친 집안 여인들의 한글 수적을 모아 서첩했던 것을 종손 맹흠구가 1800년대에 다시 성첩한 것이다.

『자손보전』에는 해주최씨의 음식 조리법을 비롯하여 편지 20여 건, 노비문서, 조장(弔狀) 글, 시문, 행장 등이 엮여 있다.

남편 맹세형의 묘갈명(墓碣銘)을 쓴 송시열(宋時烈)이 최씨 부인은 “성품이 단정하고 정숙하였다. 시어머니를 공경하고 남편 내조에 힘썼다. 근면과 검소함으로 집안을 유지하고, 정성과 예절을 다해 조상의 제사를 받들었다.”고 하였다.

「최씨 음식법」은 해주최씨가 시어머니 양주조씨(楊州趙氏, 15661643)로부터 집안의 가풍과 음식 조리법을 배워 며느리 완주이씨(完州李氏, 16181680)에게 전수하기 위해 기록한 내용이다.

구성과 내용

「최씨 음식법」은 소실된 앞부분을 제외하고 조청(造淸), 흑당(黑糖), 흰설교, 증편, 절편, 석이편, 교의상화, 앵두편, 즙디히, 팀채, 파팀채, 외딤채, 가지딤채, 토란딤채, 게젓, 붕어찜, 양찌는 방문, 연계찜, 가쟝법, 계란국수 순으로 20항이 기록되어 있다. 내용을 보면 주식류(主食類)로는 국수와 만두가 각 1종이고, 찬물류(饌物類)로 찜 4종, 젓갈 1종, 침채류(沈菜類) 5종이다. 떡은 4종이고, 과정류(菓飣類)에 당(糖) 2종, 과편이 1종 소개되어 있다. 장류(醬類)로는 즙디히 1종이 있다. 조리법은 ‘조청은 ~’으로 표제어가 바로 서술되었는데, 편, 즙디히, 팀채, 가장법, 계란국수는 표제어가 줄을 바꾸어 기록되어 있다.

의의 및 평가

「최씨 음식법」은 1600년대 충청남도 아산 지역을 본거지로 한 사대부가(士大夫家)의 음식 문화를 엿볼 수 있는 실용서이다. 떡을 찔 때 햅쌀, 묵은쌀, 희나리쌀, 밀다리쌀, 찹쌀 등 재료의 종류에 따라 물의 양이나 조리 방법을 달리할 것을 당부할 정도로 저자 스스로가 여러 번의 경험을 통해 체득한 내용을 기록하였다. 특히 저자의 생몰 연대로 보아 1670년 저술된 장계향의 『음식디미방』보다 앞선 1600년대 초중반에 필사된 한글 음식 조리서로 그 의미가 크다.

참고문헌

원전

『자손보전(子孫寶傳)』

단행본

황문환 외, 『조선시대 한글편지 판독 자료집 2』(역락, 2013)
신창맹씨 종친회, 『신창맹씨 족보』(1989)

논문

박채린, 「신창 맹씨 종가 「자손보전」에 수록된 한글조리서 「최씨 음식법」의 내용과 가치」(『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30-2,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