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자대장경 ()

목차
관련 정보
출판
개념
주로 고려 후기, 사경 재료로 은니를 써서 만든 사경 대장경.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은자대장경(銀字大藏經)은 주로 고려 후기에 사경 재료로 먹이 아닌 은니(銀泥)를 써서 만든 사경 대장경을 말한다. 고려시대에는 비교적 이른 시기인 952년(고려 광종 3)에 『대반야바라밀다경』 1부를 제작하였다는 기록이 있고, 12세기에도 일월사(日月寺)에서 『묘법연화경』, 현화사(玄化寺)에서 『유가사지론』, 『현양성교론』을 사성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나 충렬왕대에 들어서부터 국왕 발원의 금자대장경과 은자대장경을 조성하였다.

목차
정의
주로 고려 후기, 사경 재료로 은니를 써서 만든 사경 대장경.
내용

기록상 ‘은자대장경(銀字大藏經)’은 고려 정종(定宗) 원년(946)에 왕요(王堯), 즉 정종이 발심하여 ‘은자장경(銀字藏經)’을 경조(更造)하였다는 기록이 있는 『요동행부지(遼東行部志)』에서 처음 나타난다.

12세기에 제작된 은자대장들은 남아 있는 실물보다 기록이 풍성한데, 1101년(고려 숙종 6) 4월에 임금이 일월사(日月寺)에 행차하여 금으로 사성한 『묘법연화경』을 경축하였고, 1102년(고려 숙종 7) 5월에는 임금이 현화사(玄化寺)에 행차하여 감지은자 『유가사지론』, 『현양성교론』의 사성을 경축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은자대장경은 대체로 13세기인 충렬왕 시기부터 사경원(寫經院), 금자원(金字院), 은자원(銀字院) 등에서 많이 조성되어 전해지는데 이때 조성된 국왕 발원 은자대장경으로는 『불공패색신변진언경』 권13, 『문수사리문보리경』, 『불설보살본행경』 권하, 『보살선계경』 권5, 『현식론』 등 제작 연대가 확실한 금은자 사경이 70여 건에 이르며, 산질(散帙)로 전해지는 것을 합치면 수백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불공패색신변진언경(不空覇索神變眞言經)』 권13의 경우, 감지에 은니로 서사하였고, 권자본이며, 전체 길이는 1,020cm, 높이 13.3cm, 1행 14자로 권두에 금니(金泥)와 은니의 선으로 된 당초문(唐草紋)의 표지(褾紙)가 있으며, 뒷면에는 금니로, 서 있는 신장상 1구가 그려져 있다. 권미(卷尾)에는 2행으로 된 발문이 있다.

은자대장경과 금자대장경의 경문(經文)은 고려 재조대장경의 경문과 동일한 경우가 많지만 거란대장경의 경문과 일치하는 경우도 있다.

고려시대에는 초조대장경과 같은 목판 대장경을 조성하였을 뿐만 아니라 고려 후기인 충렬왕대부터 충숙왕대에 이르는 시기에는 금자대장경과 은자대장경 등 사경 대장경도 대대적으로 조성하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권희경, 『고려의 사경』(대구: 도서출판 글고운, 2006)
장충식, 『한국의 사경』(서울: 동국대학교, 2007)

논문

김종민, 「감지금자 『百千印陁羅尼經四經合部』 사경을 통해 본 고려시대 왕실발원 사경 - 충렬왕대의 국왕발원사경을 중심으로」(『불교미술사학』 28, 불교미술사학회, 2019)
남권희·석혜영, 「1284년 忠烈王, 元成公主 발원 金字大藏 『百千印陁羅尼經(合部)』의 서지적 연구」(『서지학연구』 74, 한국서지학회, 2018)
장충식, 「직지사 금자대장경의 고찰」(『한국불교의 좌표: 녹원스님 고희기념학술논총』, 서울: 불교시대사, 1997)
황수영, 「고려국왕발원의 금·은자대장」(『미술사학연구』 125, 한국미술사학회, 1975)
황수영, 「안성 청원사의 고려사경 - 고려국왕발원 은자대장 -」(『동양학』 5,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1975)
집필자
김성주(동국대학교 국어국문문예창작학부)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