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축산 현화사 ( )

목차
관련 정보
현화사 칠층석탑
현화사 칠층석탑
불교
유적
북한 황해북도 장풍군에 있었던 고려전기 제8대 현종 당시의 사찰.
이칭
이칭
대자은현화사(大慈恩玄化寺)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 황해북도 장풍군에 있었던 고려전기 제8대 현종 당시의 사찰.
내용

창건 연대 및 창건자는 미상이나 1018년(현종 9)에 창건되었다는 설이 있으며, 1020년 8월 현종이 안서도(安西道)에 명하여 둔전(屯田) 1,240결(結)을 이 절에 주게 한 것으로 보아 그 이전에 창건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 해 9월 현종은 이 절에 들러 새로 주조한 동종을 타종하였고, 10월에는 이 절의 승려 법경(法鏡)왕사(王師)로 삼았으며, 1021년에는 현종이 행행(行幸)하여 비문(碑文)의 전제(篆題)를 썼다. 1032년(덕종 1) 5월에는 덕종이 현종의 휘신도량(諱辰道場)을 개설하였고, 1047년(문종 1)에는 문종이 다시 현종의 휘신도량을 개설하였으며, 1052년 3월에는 반승(飯僧)을 베풀었다.

1067년 9월에는 이 절에 주석하고 있던 해린국사(海麟國師)가 노환을 이유로 산으로 돌아가려 하자, 문종이 절에 들러 그에게 다약(茶藥)과 금은기(金銀器) 등의 보물을 전달하였고, 1070년에는 왕자 탱(竀)을 이 절에 보내어 승려로 만들었다. 1095년(헌종 1)에는 태후선종의 소상재(小祥齋)를 베풀었고, 1102년(숙종 7)에는 숙종이 은자유가현양론(銀字瑜伽顯揚論)의 경찬법회에 참석하기 위해서 이 절에 왔다.

특히, 의종은 이곳에 자주 행차하여 반승과 무차대회(無遮大會) · 나한재(羅漢齋) 등을 베풀었으며, 현화사 장흥원(長興院)에서 과시(科試)를 보았고, 유희를 위하여 이곳 동령(東嶺)에 청녕재(淸寧齋)라는 별관을 건립하였다.

청녕재를 지을 때 한 역졸(役卒)은 너무 가난하여 늘 밥을 굶었다고 한다. 그래서 다른 사람들의 밥을 한 숟가락씩 얻어 먹으며 일을 하였는데, 그의 부인은 자신의 머리채를 잘라 판 뒤 그 돈으로 밥을 지어 신세진 이들에게 밥을 대접하였으나, 그 사실을 알고 아무도 목이 메어 밥을 먹지 못하였다는 슬픈 이야기가 전한다. 그러나 의종은 이러한 고초도 아랑곳없이 날마다 술잔치로 세월을 보내다가 이의민(李義旼)에 의하여 최후를 맞게 되었다.

1216년(고종 3)에 고종은 이 절에 있던 안종(安宗) · 현종 · 강종의 신어(神御)를 숭교사로 옮겼고, 1225년 8월에는 강종의 기일에 행향(行香)하였다. 1276년(충렬왕 2)에 공주와 함께 이 절에 와서 승지에게 명하여 불전(佛殿)을 보수하게 하였고, 1283년에는 이 절을 중수할 것을 명하였다. 이 절의 폐사 연대 및 이유는 전해지지 않는다. 현재 옛 절터에는 북한 국보 문화유물 제139호 칠층석탑과 북한 국보급 문화재 제151호 석비(石碑), 당간지주, 석불잔석(石佛殘石), 석교(石橋) 등이 남아 있고, 국립중앙박물관 경내에는 일제강점기 절터에서 수습된 석등이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한국사찰전서(寺刹全書)』(권상로 편, 동국대학교 출판부, 1979)
『송도(松都)의 고적(고유섭, 열화당, 1979)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