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앙정가(俛仰亭歌)
즉, 내용적으로는 면앙정 주변의 산수의 아름다움과 이를 유상하는 즐거움, 그리고 호연지기(浩然之氣)를 유감 없이 표현하였고, 형식적으로는 어사(語辭)가 청완(淸婉)하고 유창(流暢)하다고 칭찬하였다. <면앙정가>는 정극인(丁克仁)의 <상춘곡 賞春曲>과 더불어 호남 가사문학의 원류가 될 뿐 아니라, 그 내용·형식·가풍 등은 정철(鄭澈)의 <성산별곡 星山別曲>에 직접 영향을 미치고 있어 가사문학의 계보 연구에 필수적인 자료가 되고 있다. - 『국문학전사』(이병기·백철, 신구문화사, 1959) - 『한국시가사강』(조윤제, 을유문화사, 1954) - 『호남가단연구』(정익섭, 진명문화사, 1975) - 「면앙정가해설」(김동욱, 『문학춘추』 1-3, 1964) - 「임란전후가사연구」(김동욱, 『진단학보』 25·26·27 합병호, 19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