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곡만영 ()

목차
관련 정보
노곡만영
노곡만영
한문학
문헌
조선 후기에, 같은 마을에 살던 양씨와 박씨 두 집안의 유고를 모아 엮은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에, 같은 마을에 살던 양씨와 박씨 두 집안의 유고를 모아 엮은 시문집.
서지적 사항

불분권 10책. 필사본. 대략 1800년 초에 후손들에 의하여 편집되고 필사된 것 같다. ≪노곡만영≫ 권두에 이윤묵(李允默)의 서문과 권말에 양대의(梁大宜)·박이호(朴履鎬)의 발문이 있다.

내용

이 책은 작가별로 분류되어 있지 않고 시체별(詩體別)로 분류되어 있다. 1책에 오언절구 209수, 칠언절구 252수, 2·3책에 오언율시 613수, 4∼6책에 칠언율시 643수, 7·8책에 오언배율(五言排律) 277수, 칠언배율 65수, 9책에 녹(錄) 3편, 행시(行詩) 8편, 표(表) 15편, 10책에 부(賦) 77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노곡만영≫ 시는 대체로 서정이 넘치는 전형적인 당시풍의 한시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신선한 비유와 은유, 질박한 언어의 구사 등이 특징이다. 같은 제목, 같은 소재로 각 체별로 지은 경우가 많다. 오언절구와 칠언절구는 주로 국내 명승지·유적지 등과 전국 방방곡곡의 감추어진 승경·사찰·암자·정자·대 등을 소재로 읊었다.

그곳의 소재를 밝히고 그 장소에 얽힌 이야기와 특징적인 점을 관련시켜 읊었다. 오언율시와 칠언율시에는 중국의 명승지를 소재로 읊은 것이 많다. <안분재추야청우득한자 安分齋秋夜聽雨得閒字> 2수는 자신의 인생관을 담백하게 표현한 것으로 짜임이 치밀하고 자연스러운 작품이다.

≪노곡만영≫ 4책의 칠언율시에는 당·송의 시에 차운(次韻)한 것이 대부분이다. 5책의 칠언율시에는 노년의 쓸쓸함과 인생의 허무감을 읊은 시들이 많다. <오게사평 午憩沙坪>·<취중자희 醉中自戱>·<어촌모연 漁村暮烟> 등은 나그네의 정취와 풍류를 표현한 뛰어난 작품이다. 6책의 칠언율시는 이규보(李奎報)를 비롯하여 우리 나라 선현들의 시에 차운한 시가 대부분이다. 주로 도학적인 가치를 주제로 하거나 친구와의 우정과 학문에의 열정 등을 읊었다.

≪노곡만영≫ 7·8책의 오언·칠언배율은 속리산·봉래산·풍악산을 비롯한 자연의 승경을 주로 읊었다. 이미지의 연결이 자연스럽다. 고요하고 정적인 분위기는 담백한 선가적 맛을 강하게 풍긴다. 9책의 녹은 시로 이루어진 기행문이다. 시 앞에 설명이 붙어 있다.

≪노곡만영≫의 <심용문록 尋龍門錄>은 무오년 9월에 용문산(龍門山)을 유람한 기행문이다. <동유록 東遊錄>은 기미년 초여름에 젊은 선비 두세 명과 함께 포천(抱川)·영평(永平)·탄금(炭黔)·동해안 일대를 유람한 기행문이다. <유관동록 遊關東錄>은 경신년 초여름에 동자 하나만 데리고 혼자서 홍천(洪川)·인제(麟蹄)·양양(襄陽)·관동팔경을 유람한 기행문이다. 모두 같은 체재로 쓰여졌다.

언제 어느 곳을 출발하고, 아침·점심·저녁을 먹은 곳과 기숙한 곳을 시간의 순서대로 기록하고 시를 짓게 된 동기도 설명하였다. ≪노곡만영≫의 행시 8편은 모두 도학에 있어서 자신의 학문적 성취를 구체적인 역사적 사실을 소재로 삼아 피력한 시이다. 비판적이고 풍자적이며 혁신적인 면도 상당히 드러나 있다. 부 77편은 선가적이고 도가적인 색채를 띠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장서각도서에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한여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