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악 오국리 고분 ( )

선사문화
유적
북한 황해남도 안악군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굴식돌방무덤. 횡혈식석실분.
이칭
이칭
안악(安岳) 제4호분
목차
정의
북한 황해남도 안악군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굴식돌방무덤. 횡혈식석실분.
내용

‘안악 제4호분’으로 안악 제3호분에서 서쪽으로 4m 사이를 두고 나란히 있다. 고분의 구조를 보면, 서쪽으로 약간 치우친 남향이고 2개의 석실을 갖추고 있다.

석실의 구조는 남쪽에 동서 방향으로 길게 놓인 장방형의 전실과 전실의 북쪽 한가운데서 북쪽으로 길게 놓인 장방형의 현실로 되어 있는데, 전실의 천장은 1단의 평행굄 위에 납작천장을 한 다음 한가운데 남겨놓은 작은 방형(方形)의 공간에 2단의 삼각굄을 하고 한장의 개석(蓋石)으로 천장을 마무리지었으며, 현실천장은 1단의 평행굄을 한 위에 2장의 판석(板石)으로 납작천장을 만들었다.

전실은 동서길이 210㎝, 남북너비 66㎝, 벽높이 동쪽 87㎝, 서쪽 80㎝이고, 현실의 길이 251㎝, 남쪽너비 87㎝, 북쪽너비 85㎝에 이른다. 전실 납작천장돌 서쪽 동서길이 69㎝, 남북너비 56㎝, 두께 10㎝이고, 동쪽 동서길이 50㎝, 남북너비 55㎝, 두께 10㎝이다.

유물은 토기편과 순금제귀걸이가 1점이 출토되었는데, 순금제귀걸이는 길이가 3.5㎝이고 얇은 금판을 접어 만든 기본형에 타원형의 세환을 갖추고 세환에 정교하게 제작된 화형과 원추형 장식을 갖춘 수식이 달려 있다.

의의와 평가

이 고분은 안악제3호분 구조와 공통점이 있으며, 특히 안악 제3호분에 매장된 주인공이 일시적으로 매장되었던 가무덤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새로 발굴된 오국리무덤에 대하여」(리순진, 『조선고고연구』1986년 1호, 사회과학출판사)
「고구려의 금귀걸이」(허순산, 『력사과학』1985년 4호, 과학백과사전출판사)
집필자
이호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