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락 ()

목차
관련 정보
우락
우락
국악
작품
전통 성악곡인 가곡(歌曲)의 하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통 성악곡인 가곡(歌曲)의 하나.
내용

전통 성악곡인 가곡(歌曲)의 하나. 우락은 우락시조의 준말로 우조에 의한 낙시조(樂時調)라는 말이다. 남창가곡과 여창가곡으로 두루 불리고 있다.

남창우락은 언락(言樂)을 파생시켰으며, 언락과 서로 대(對)를 이룬다. 언락과 여창우락은 처음을 높은 음으로 질러내는 데 반하여 남창우락은 낮은 음으로 숙여 낸다. 음계는 남 · 여창 모두 황(黃) · 태(太) · 중(仲) · 임(林) · 남(南) 5음의 평조선법으로 된 우조이고, 종지음은 남창은 탁태주(濁太簇)이고, 여창은 태주(太簇)이다.

형식은 남 · 여창 모두 5장과 중여음(中餘音) · 대여음(大餘音)으로 되어 있고, 장단은 10점(點) 16박(拍)의 기본 가곡장단으로 되어 있다.

시조시(時調詩)를 노래말로 사용하고, 하규일(河圭一) 전창(傳唱)으로 남창은 「조다가」 · 「임으란」 · 「이선(李禪)이」의 3곡이 전하여오고, 여창은 「바람은」 · 「제갈량(諸葛亮)은」 · 「만경창파지수(萬頃蒼波之水)에」 · 「물아래」 · 「유자(柚子)는」 · 「앞논에」 · 「군불견(君不見)」의 7곡이 전한다.

노래말에 따라 가락이 다른데, 남창에서 곡의 노래말은 다음과 같다. (초장) 졸다가 낚시대를 잃고, (2장) 춤추다가 되롱이를 잃어, (3장) 늙은이 망령으란 백구야 웃지마라, (4장) 십리에, (5장) 도화(桃花) 발(發)하니 춘흥(春興)겨워하노라.

여창에서 가장 널리 불리는 곡의 노래말은 다음과 같다. (초장) 바람은 지동(地動)치듯 불고, (2장) 궂인 비는 붓듯이 온다, (3장) 눈 정(情)에 거룬 님을 오늘 밤 서로 만나자 하고 판첩처서 맹서(盟誓)받았더니 풍우(風雨)중에 제 어이 오리, (4장) 진실로, (5장) 오기 곧 올량이면 연분인가 하노라.

연주형태는 단(單)잡이로 된 거문고 · 젓대 · 세피리 · 가야금 · 해금 · 장구 등의 관현반주에 맞추어 부르는 독창곡이다. 대여음이 전주로 사용되고, 한배는 대개 1분 55정간(井間)이며, 남창은 계락(界樂) 다음 언락 앞에서 부르고, 여창은 평롱(平弄) 다음 환계락(還界樂) 앞에서 부른다.

『가곡원류』에는 곡태(曲態)를 “요임금의 바람과 탕임금의 햇살 아래 꽃이 만발한 봄동산 같다.”고 하였다. 담담히 흐르는 물같이 치렁거리는 멋이 있는 곡이다. 수록되어 있는 옛 악보로는 『서금가곡(西琴歌曲)』 · 『학포금보(學圃琴譜)』 등이 있고, 『청구영언』 · 『가곡원류』 등에 노래말이 전한다.

참고문헌

『가곡원류(歌曲源流)』
『한국음악연구』(이혜구, 국민음악연구회, 1957)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