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 장군 예장석묘 ( )

고려시대사
유적
문화재
광주광역시 북구 망월동에 있는 고려 후기 무신 정지의 무덤.
이칭
이칭
정지장군예장묘소
유적/고인돌·고분·능묘
양식
무덤
건립 시기
고려 후기
관련 국가
고려
관련 인물
정지
소재지
광주광역시 북구
시도지정문화재
지정기관
광주광역시
종목
시도기념물(1975년 12월 30일 지정)
소재지
광주광역시 북구 망월동 산176번지
내용 요약

정지장군예장석묘(鄭地將軍禮葬石墓)는 광주광역시 북구 망월동에 있는 고려 후기 무신 정지의 무덤이다. 고려~조선 전기에 유행한 방형분의 형태가 보존되어 있다. 고려 후기 왜구 격퇴에 큰 공을 세운 탁월한 전략가이자 수군의 창시자로 평가받는 정지의 업적과 생애를 살펴볼 수 있는 유적이다.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 망월동에 있는 고려 후기 무신 정지의 무덤.
연원/역사적 관련 사항

정지(鄭地, 1347~1391)는 전라도 나주 출신의 무신이다. 수군의 최고 지휘관으로 왜구를 격퇴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전문적인 수군을 양성하고 전술 훈련 보급으로 수군의 전투력을 향상시키는 한편, 화포를 장착한 전함의 건조를 건의하고 실행에 옮겼다. 1383년(우왕 9)에는 남해 관음포전투에서 화포를 장착한 전함으로 왜구 선단을 대파하였다.

1388년(우왕 14) 위화도회군에 동참하였으나 일명 김저(金佇) 사건과 윤이(尹彝) · 이초(李初) 사건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 1391년(공양왕 3) 회군의 공으로 이등공신이 되었으나 관직에서 물러나 광주에 살다가 45세의 나이로 병사하였다. 조선 초, 정지의 업적이 인정되어 경렬(景烈)의 시호를 받았고 후손을 주1하라는 명이 내려졌다.

형태와 특징

정지장군예장석묘는 광주 무등산 자락인 노고지리산 북동쪽에 있다. 골짜기 사이로 북동-남동 방향으로 뻗어내린 작은 능선 위에 묘역이 조성되어 있다. 묘역에는 3개의 기단이 설치되어 있는데 가장 위쪽 기단 위에 석축을 쌓은 뒤 정지의 묘를 조성하였다. 아래쪽에는 아들 정경(鄭耕, 1369~1421)의 무덤이 있다.

정지의 묘는 능선 방향과 축선이 다르게 조성되었는데, 좌향이 남향에 가깝다. 봉분은 평면 장방형으로 고려~조선 전기에 유행한 방형분(方形墳)의 형태이다. 봉분 전면과 측면에 깬돌로 석축을 쌓았는데 봉분이 경사면을 따라 조성되어 전면 석축은 높이가 약 1m이지만, 측면은 위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져 후면에는 석축이 확인되지 않는다.

봉분 석축 위에는 흙을 쌓지 않아 단면이 장방형에 가깝다. 봉분 둘레에 주2을 두르고 위로 흙을 돋아 쌓은 일반적인 방형분의 구조와 차이가 있다. 봉분 앞에는 후대에 건립한 묘비가 2기 세워져 있는데 부인 밀양박씨와의 합장묘라 기록되어 있다.

봉분 전면에 설치된 1단의 주3에 잇대어 주4주5이 놓여 있으며, 그 앞으로 주6 1쌍이 좌우에 세워져 있다. 문인석은 복두공복(幞頭公服)에 홀(笏)을 수직으로 들고 있는 형식으로 무덤 조성 당시 또는 이후 비교적 가까운 시기에 설치된 것으로 추정된다. 묘역 아래에는 정지의 사당인 경렬사(景烈祠)가 자리한다.

현황

정지장군예장석묘는 광주광역시 북구 망월동 산176에 있다. 1975년 12월 30일 전라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가 광주광역시 기념물로 재지정되었다. 정지의 묘소는 정지장군유적보존회에서 묘역을 정화 · 관리하여 현재의 모습에 이르고 있다.

묘역 아래의 경렬사는 1644년(인조 22) 지금의 광주광역시 동구 동명동에 있었으나, 19세기 말 철거되었고 1981년 현재 위치에 복원한 것이다. 경내에는 주7주8, 주9, 전시관, 옛터에서 옮겨 온 경렬사유허비(景㤠詞遺墟碑)가 있다.

의의 및 평가

정지장군예장석묘는 고려~조선 전기 방형분의 특징을 보여 주고 있으며, 당대 왜구 격퇴에 큰 공을 세운 탁월한 전략가이자 수군의 창시자로 평가받는 정지의 업적과 생애를 살펴볼 수 있는 유적이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단행본

『광주시 문화유적분포지도』(광주시 · 조선관요박물관, 2005)

논문

이소영, 「고려말 정지의 생애와 군사활동」(『역사와 경계』 117, 부산경남사학회, 2020)
주영민, 「경남지방 묘역시설분묘의 현황과 특징」(『한국민족문화』 64,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7)
정해득, 「조선시대 묘제연구」(『조선시대사학보』 69, 조선시대사학회, 2014)
이은주, 「사대부묘 석인상 복식의 양식변화 요인에 관한 고찰」(『복식』 58, 한국복식학회, 2008)

인터넷 자료

국가문화유산포털(https://www.heritage.go.kr/)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https://portal.nrich.go.kr/)
주석
주1

죄를 지어 면관(免官)되었던 사람을 다시 벼슬자리에 등용함.    우리말샘

주2

왕릉이나 큰 무덤 주위에 돌로 만들어 세운 호랑이.    우리말샘

주3

무덤 앞에 편평하게 만들어 놓은 장대석.    우리말샘

주4

무덤 앞에 제물을 차려 놓기 위하여 넓적한 돌로 만들어 놓은 상.    우리말샘

주5

무덤 앞에 향로를 올려놓는 네모반듯한 돌. 탁상 모양을 새긴다.    우리말샘

주6

능(陵) 앞에 세우는 문관(文官)의 형상으로 깎아 만든 돌. 도포를 입고 머리에는 복두(幞頭)나 금관을 쓰며 손에는 홀(笏)을 든 공복(公服) 차림을 하고 있다.    우리말샘

주7

바깥 담에 세 칸으로 세운 대문.    우리말샘

주8

바깥채 안쪽에 세 칸으로 세운 대문.    우리말샘

주9

조상의 신주(神主)를 모셔 놓은 집.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희인(인천시립박물관 학예연구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