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남문집 ()

유교
문헌
조선 후기, 영남 남인 학자 이회경의 시 · 서(書) · 기 · 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이칭
이칭
학남집(鶴南集)
문헌/고서
편찬 시기
개항기
간행 시기
개항기
저자
이회경(李晦慶)
편자
이종흡
권책수
8권 4책
권수제
학남선생문집(鶴南先生文集)
판본
목판본
표제
학남집(鶴南集)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성균관대학교 학술정보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학남문집』은 조선 후기 영남 남인 학자인 이회경(李晦慶, 1784~1866)의 시가와 산문을 모아 편찬한 시문집이다. 8권 4책의 목판본으로, 표제는 ‘학남집(鶴南集)’, 권수제, 판심제는 ‘학남선생문집(鶴南先生文集)’이다.

정의
조선 후기, 영남 남인 학자 이회경의 시 · 서(書) · 기 · 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편자 및 저자

저자 이회경(李晦慶)은 19세기에 활동한 영남의 남인 학자로, 자는 서구(敍九), 호는 학남(鶴南), 본관은 경주이다. 류범휴(柳範休, 1744∼1823)의 문하에서 공부하여 이황(李滉)- 이상정(李象靖)-류범휴로 이어지는 영남 남인계 학맥을 계승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편찬/발간 경위

서문과 행장(行狀)에 의하면 저자가 세상을 떠난 지 27년이 되는 1892년에 증손인 이종흡(李鍾翕)이 유고를 수습하고 류필영(柳必永)에게 교정과 서문을 부탁하여 간행한다고 하였다.

서지적 사항

8권 4책, 목판본이다.

내용

류필영(柳必永)이 쓴 서문을 시작으로, 권1에 시 · 서(書), 권2·3에 서, 권4에 서 · 잡저, 권5·6에 잡저(雜著) · 서(序), 권7에 기(記) · 발(跋) · 잠(箴) · 명(銘) · 찬(贊) · 축문(祝文) · 제문(祭文), 권8에 제문 · 전(傳) · 묘갈명, 부록으로 김대진(金岱鎭)을 비롯한 지인과 문생 · 족척들이 쓴 만장과 제문, 이재영(李在永) · 김도화(金道和)가 쓴 행장, 묘갈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말에 저자의 스승인 류범휴의 후손 류연즙(柳淵楫)이 쓴 발문이 수록되어 있다. 서(書)는 스승인 유범휴(柳範休)에게 『대학』 · 『맹자』 · 『주자대전(朱子大全)』 등의 의심나는 곳을 물은 문목(問目)이 붙은 것에서부터 유치명(柳致明) · 유정문(柳鼎文) · 박규수(朴珪壽) 등 많은 인사와 교환한 것에 이르기까지, 주로 학문과 의리에 관한 내용의 서찰이 많다. 특히, 이재목(李在穆)과의 별지 문답에서 『중용』의 ‘연비어약(鳶飛魚躍)’과 『대학』의 ‘ 격물치지(格物致知)’의 연관성을 논한 것은 『중용』과 『대학』의 표리관계를 밝힌 독특한 견해다. 잡저의 「연우문답(蓮友問答)」은 세상의 치란, 인물의 현부, 군자와 소인, 인간의 처세, 공부하는 방법 등에 대해 연꽃을 가상 인물로 등장시켜 문답한 것이다. 『중용』을 사대지(四大支) · 육대절(六大節)로 축소해 1장의 지면에다 전체를 그려 넣은 「중용도(中庸圖)」, 『대학』의 삼강령(三綱領) · 팔조목(八條目)을 3단계로 나누어 축소하여 도시(圖示)한 「대학도(大學圖)」, 무불경(無不敬)을 중심에 넣고 구용(九容) · 구사(九思)를 가로 배열한 「경신도(敬身圖)」 등이 주목된다. 치자(梔子) 꽃에다 중앙의 한 줄기를 극(極)으로 정하고, 밖으로 『예기』 옥조편(玉藻篇)의 구용(九容), 『논어』의 구사(九思), 『대학』의 팔조, 『중용』의 구경(九經), 『서경』 홍범(洪範)의 구주(九疇), 고요모(皐陶謨)의 구덕(九德), 문왕(文王)의 후천팔괘(後天八卦), 순(舜)의 구장(九章) 등을 배열해 그 꽃 한 송이 속에 만물의 이치가 들어 있다고 기술한 「천화만수일관도(天花萬殊一貫圖)」는 역작이라 할 수 있다. 그밖에 「태극도설(太極圖說)」 · 「대학대지(大學大旨)」 · 「홍범도설(洪範圖說)」 · 「조문록(朝聞錄)」 등도 저자의 사상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다.

현황

국립중앙도서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성균관대학교 학술정보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온라인으로 열람이 가능하도록 원문 서비스를 하고 있다.

의의 및 평가

이황-이상정-류범휴로 이어지는 영남 남인계 학자의 학문과 사상을 잘 보여 주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단행본

정경희, 『학남문집 해제』 (규장각 소장자료해제)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