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사문집 ()

목차
관련 정보
한사문집
한사문집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문신, 강대수의 시 · 비답 · 교서 · 소차 등을 수록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문신, 강대수의 시 · 비답 · 교서 · 소차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7권 4책. 목판본. 권두에 유후조(柳厚祚)와 유주목(柳疇睦)의 서문, 권말에 8대손 영흠(泳欽)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2에 부(賦) 1편, 시·만사 193수, 청회록(淸淮錄), 권3에 비답(批答) 2편, 교서(敎書) 1편, 소차(疏箚) 9편, 권4에 소차 3편, 계사(啓辭) 2편, 서(書) 2편이 있다.

권5에 전(箋) 2편, 계(啓) 5편, 서(序) 5편, 기(記) 1편, 발(跋) 4편, 상량문 2편, 잡저 5편, 제문 46편, 권6에 비문·갈명·묘지명·행장, 권7은 부록으로 묘갈명·가장(家狀)·행장 각 1편, 제문·만사 49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애시명부(哀時命賦)」는 영창대군(永昌大君)의 문제와 관련, 정인홍(鄭仁弘)의 책동으로 삭직, 회양(淮陽)에 유배되었던 시절에 쓴 것이다. 일년 사계절의 바뀜에 따라 그때그때의 감회를 새소리·벌레소리·들풀 등의 자연물에 부쳐 그린 작품이다.

시는 오언율시의 형식이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한다. 눈[雪]과 매화·폭포·대나무 등 자연을 소재로 한 것이 많고, 정자나 누각에 부치는 시, 전국의 명산을 찾아다니며 읊은 시 등이 있다.

「청회록」은 10여 년의 유배 생활로 나그네 처지가 된 자신의 심경을 적은 것으로, 타관에서 지내는 외로움과 객수가 절실하게 그려져 있다. 만사는 「인열왕후만사(仁烈王后挽詞)」를 비롯해 64수가 실려 있다.

소 가운데 「위친신원소(爲親伸寃疏)」는 당시 사간원정언을 맡고 있던 아버지 익문(翼文)이 광해군의 난정을 항소하다 유배되자 이의 해배(解配)를 위해 쓴 것이다. 비문은 신라 선덕왕 때 백제의 침략을 막다가 전사한 죽죽(竹竹)에 대한 글이다.

문집 전체를 통해 당시 이이첨(李爾瞻) 사건이나 소현세자(昭顯世子)의 볼모 문제, 계축옥사와 인조반정 등의 배경을 살필 수 있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김경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