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계문집 ()

목차
관련 정보
화계문집
화계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유의건의 시 · 가사 · 서(書) · 서(敍) 등을 수록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유의건의 시 · 가사 · 서(書) · 서(敍)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11권 5책. 목활자본. 현손 기택(基澤)·기정(基靖)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홍양호(洪良浩)의 서문, 권말에 이종상(李鍾祥)·최세학(崔世鶴)의 후지(後識)가 있다.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영남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6은 시 806수, 권7은 시 17수, 가사(歌詞) 11편, 잠(箴) 2편, 명(銘) 5편, 찬(贊) 3편, 행장 2편, 상량문 5편, 권8은 서(書) 32편, 권9는 서(序) 5편, 서(敍) 17편, 권10은 발(跋) 12편, 전(傳) 1편, 논(論) 4편, 권11은 논 7편, 잡설 20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시에는 오언과 칠언의 절구가 많으며, 오언장편의 「생민탄(生民歎)」과 육언장단구의 「빈로탄(貧老歎)」은 평생을 가난하게 지낸 자신의 신세를 탄식하는 심정을 나타낸 것이다. 내용상으로도 차운시·증여시·영물시·서경시 등 다양하다.

논 가운데 중요한 것으로서 「반육역론(反六逆論)」은 혼란을 일으키는 여섯 가지 요인을 제시한 위(衛)나라 석작(石碏)의 논설을 인정하고, 그에 반론을 제기했던 유종원(柳宗元)의 설에 다시 반론을 편 글이다. 중국의 역사적 사건과 인물을 인용하면서 논변하였다.

「비간간이사론(比干諫而死論)」은 은(殷)나라 주(紂)에게 간하다가 죽임을 당한 비간에 대해 살(殺)이라 하지 않고 사(死)라고 한 이유를 논증한 것이다. 「독역의의(讀易疑義)」·「선천변위후천설(先天變爲後天說)」·「독역해조(讀易解嘲)」·「독역관규(讀易管窺)」는 『주역』에 대한 자신의 해석 태도, 의문점, 주석의 대교 등을 나타낸 것이다.

그 밖에 잡저의 「불지설(佛池說)」·「응보설(應報說)」·「보응설(報應說)」·「인과설(因果說)」 등은 유학자인 저자가 불교에 대한 태도를 나타낸 글이다.

무조건 배척하거나 이단으로 생각하던 당시 세태와는 달리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두루 인정하는 합리적인 생각을 보여 주고 있다.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영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