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재집 ()

유교
문헌
개항기와 대한제국기, 학자 이범석의 시 · 서(書) · 서(序) · 발 등을 수록한 시문집.
문헌/고서
편찬 시기
미상
간행 시기
미상
저자
이범석(李範奭)
편자
이범석 추정
권책수
8권 4책
판본
필사본
표제
확재집(確齋集)
소장처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확재집』은 개항기부터 대한제국기 경까지 생존한 학자 확재 이범석의 시문을 엮은 문집이다. 1862년(철종 13)부터 각지에서 일어난 민란, 남연군묘 도굴 사건, 고종 시해 시도 사건, 동학란, 청일전쟁 등의 역사와 함께 일제의 침략 정책이 성공한 이유 등을 살펴보기에 적당한 문집이다.

정의
개항기와 대한제국기, 학자 이범석의 시 · 서(書) · 서(序) · 발 등을 수록한 시문집.
저자 및 편자

저자 이범석(李範奭, 1862~?)의 자는 성백(成伯) · 순좌(舜佐), 호는 확재(確齋), 출신지는 충청도 아산(牙山)이다. 16세 때 회시(會試)에 합격하였으나 문과 급제는 하지 못했다. 1894년(고종 31) 동학농민운동 이후 낙향하여 은거 생활을 이어가다 개화파를 지지하면서 1901년(광무 5) 외부주사(外部主事)에 제수된 데 이어 길주감리서 주사(吉州監理署主事), 통상국(通商局) 과장(課長), 양근군수(楊根郡守) 등을 역임했다. 1905년(광무 9) 을사늑약 이후 후학 양성에 힘썼다.

편자는 저자 자신으로 추정된다.

서지사항

8권 4책, 필사본이다.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에 있다.

편찬 및 간행 경위

저자 스스로 편집 · 필사한 듯하다.

구성과 내용

권1∼권3에 부(賦) 1편, 시 437수, 권4에 서(書) 15편, 잡저(雜著) 7편, 권5에 서(序) 10편, 기(記) 4편, 발(跋) 9편, 명(銘) 2편, 혼서(婚書) 4편, 축문(祝文) 2편, 제문(祭文) 7편, 권6에 묘갈명 3편, 묘지명 5편, 행장(行狀) 4편, 권7에 변의(辨義) 4편, 권8에 만록(謾錄)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계원상춘(桂園賞春)」 · 「모설심매(冒雪尋梅)」 · 「영국(詠菊)」 등 서정성이 강한 작품이 많다. 그밖에 많은 시들이 만시이지만, 시대를 아파하는 「상시(傷時)」도 주목된다. 「칠석직녀가(七夕織女歌)」 · 「심도상부사(沁島商婦詞)」 등은 각기 낭만성과 사실성이 뛰어난 작품이다.

서(書)는 스승 신응선(申應善)을 비롯해 김영의(金永儀) · 유정수(柳正秀) · 안종화(安鍾和) · 조병유(趙秉瑜) 등과 주고받은 것으로, 일상 안부나 교육 문제를 내용으로 하고 있다.

잡저 가운데 「득천하영재이교육지론(得天下英才而敎育之論)」 · 「인산의숙상량문(仁山義塾上樑文)」은 저자의 교육관을 잘 보여 준다. 「유황숙풍설방공명론(劉皇叔風雪訪孔明論)」 · 「신풍이양론(新風移養論)」은 역사에 대한 비평문이다.

서(序)는 족보서(族譜序)나 저자가 편집한 세승(世乘)과 선조들의 문집을 편하며 붙인 것이 많다.

행장과 묘지명에는 자찬묘지명(自撰墓誌銘)과 자찬행장(自撰行狀)이 있어 저자의 인생관을 살펴볼 수 있다.

「경의문변(經義問辨)」은 학문을 연마할 때 느낀 의문점을 학우들과 토론한 것을 적은 글이다. 「인물성동이설변(人物性同異說辨)」은 인물성동이의 논쟁이 이 시기에 어떻게 진전되었는가를 보여 주는 가치 있는 자료다. 「본조붕당정사변(本朝朋黨正邪辨)」은 이건창(李建昌)『당의통략(黨義通略)』을 이은 당쟁사 연구의 귀중한 기록이다.

「경란록(經亂錄)」은 1862년(철종 13) 각지에서 일어난 민란의 원인과 결과에서부터 남연군묘(南延君墓) 도굴 사건, 원납전(願納錢)의 경위를 비롯해, 1881년(고종 18) 안기영(安驥泳) · 권정호(權鼎鎬) · 채동술(蔡東述) 등이 고종을 시해하려 한 사건, 1894년(고종 31) 동학란, 청일전쟁 등에 이르기까지의 역사를 기술한 것이다. 외세와 결탁한 조정의 실책을 지적하고 일제의 침략 정책이 조선에서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를 분석하면서 자신의 논평을 덧붙인 것이다.

의의 및 평가

개항기 학자의 시선에서 1862년부터 각지에서 일어난 민란, 남연군묘 도굴 사건, 원납전의 경위, 1881년(고종 18)의 고종 시해 시도 사건, 1894년 동학란과 청일전쟁에 이르기까지를 기록한 역사서로서 가치가 있다. 특히 저자가 논평한 일제의 침략 정책의 성공 이유 분석 내용은 개화 공간 연구에 귀중하게 사용될 자료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원전

이범석, 『확재집』

인터넷 자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경난록(經亂錄)(https://db.history.go.kr)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은영(성균관대학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