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미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인물
조선 전기, 선종판사를 역임하고 간경도감의 불서 국역에 참여한 승려.
이칭
묘각(妙覺)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미상
출생지
전라남도 영암군
주요 저서
미상
주요 작품
미상
주요 관직
선종판사(禪宗判事), 왕사
관련 사건
없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수미(守眉)는 조선 전기 선종판사를 역임하고 간경도감의 불서 국역에 참여한 승려이다. 그는 『석보상절』의 언해 사업 및 해인사 재조대장경 인출 사업에 참여하였고, 영암 도갑사를 중창하였다. 세조로부터 왕사에 책봉되어 묘각(妙覺)이라는 호를 하사받았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 선종판사를 역임하고 간경도감의 불서 국역에 참여한 승려.
내용

수미(守眉)의 호는 묘각(妙覺)이고 법명은 수미(守眉)이다. 그는 오늘날의 영암군에 해당하는 전라도 고랑주(古朗州)에서 태어났으며, 속성은 최씨(崔氏)이다. 어머니가 어떤 사람이 구슬을 남기고 가는 꿈을 꾸고 수미를 낳았다고 한다. 그의 생몰년은 정확하지 않다.

수미는 13세에 월출산 도갑사(道岬寺)에서 출가하고 20세에 비구계(比丘戒)를 받았다. 처음에는 교학(敎學)에 뜻을 두고 불경을 강(講)하는 곳을 찾아다니다가, 속리산 법주사(法住寺)에서 신미(信眉)를 만나 그와 함께 대장경(大藏經)을 공부하였다. 그러나 훌륭한 그림을 그려도 그 그림에 생명이 없는 것처럼 열심히 경전을 공부해도 자신의 마음을 깨닫지 못하면 아무런 소용이 없음을 깨닫고 참선(參禪)에 뜻을 두게 되었다. 이후 그는 승과(僧科)에 합격하고 선종판사(禪宗判事)의 지위에 올랐다.

1446년(세종 28)에 소헌왕후가 사망하자 세종은 유신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왕후의 추복(追福)을 위해 김수온에게 석가모니(釋迦牟尼)의 일대기인 『석가보(釋迦譜)』를 증보 · 편집하도록 명하였다. 또한 수양대군에게는 석가모니의 일대기를 한글로 번역하여 간행하도록 명하였다. 이때 수미는 신미와 그 제자인 학열(學悅) · 학조(學祖)와 더불어 『석보상절(釋譜詳節)』언해 사업에 참여하였다.

1458년(세조 4)에 세조경차관(敬差官) 윤찬(尹贊) · 정은(鄭珢)을 해인사에 파견하여 재조대장경 50부를 인출하도록 하였는데, 이때에도 수미는 신미, 학조와 함께 재조대장경 인출 사업에 참여하였다. 수미는 1461년(세조 7)에 설치된 간경도감의 불서 국역 사업에도 신미, 학열, 학조 등과 함께 참여하였다.

이후 수미는 도갑사로 돌아와서 사찰을 중수(重修)하고 후학들을 지도하였다. 당시 세조의 동생 영응대군(永膺大君)은 시주자가 되어 약사여래삼존불을 조성하여 법당에 봉안하였다. 1464년(세조 10) 수미가 도갑사를 중건하고 있을 때 세조는 전라도 관찰사에게 수미를 도와주라고 명하였다. 또한 세조는 그를 왕사로 책봉하고 묘각(妙覺)이라는 호를 내리며 가사(袈裟)와 유리구슬 · 불자(拂子) 등을 하사하였다.

수미가 입적한 시기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그가 입적할 당시 그의 세속 나이는 63세, 법랍(法臘) 51세였다고 한다. 수미의 부도는 현재 도갑사에 있다.

참고문헌

원전

『세조실록』
「靈巖道岬寺道詵國師守眉禪師碑」(『韓國高僧碑文總集』, 가산불교문화연구원, 2000)
금명 보정, 「妙覺守眉王師傳」(『조계고승전』, 『한국불교전서』 제12책)

단행본

논문

최경환, 「세조대 간경도감 설치와 불서 간행」(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1)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