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돈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중기에, 대사간, 병조참판, 공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여승(汝昇)
죽창(竹窓)
시호
효정(孝貞)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51년(명종 6)
사망 연도
1612년(광해군 4)
본관
남원(南原)
주요 관직
직제학|동부승지|도승지|형조참의|예조참판|강원도관찰사
관련 사건
임진왜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중기에, 대사간, 병조참판, 공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여승(汝昇), 호는 죽창(竹窓). 윤시영(尹時英)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임천군수(林川郡守) 윤징(尹澄)이다. 아버지는 윤극신(尹克新)이며, 어머니는 동몽교관 남견손(南堅孫)의 딸이다. 이황(李滉) · 기대승(奇大升)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79년(선조 12) 생원 · 진사 두 시험에 모두 합격했으며, 1585년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정자 · 수찬 · 교리 등을 차례로 지냈다.

1591년 이조정랑으로서 건저문제(建儲問題)로 유배된 정철(鄭澈)에 연루된 백유함(白惟咸) · 유공진(柳拱辰) 등을 학관(學官)에 천거했다가 선조의 노여움을 사서 추고를 받고 삭직되었다.

이듬해 복관되었고, 이 해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왕을 호종하였다. 1593년 명나라 장수 총병(總兵) 낙상지(駱尙志) · 유격(遊擊) 오유충(吳惟忠)이 나오자 부교리로서 접반관(接伴官)으로 활약했고, 이듬해 사인을 거쳐 응교시강관이 되었다.

이어 직제학 · 동부승지 · 도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1598년 병조참의를 거쳐 대사간이 되어, 척신(戚臣)의 직을 파할 것과 종계변무(宗系辨誣)를 위해 노력하였다. 그 뒤 형조참의 · 예조참판을 거쳐 강원도관찰사로 나갔으나 임무를 다하지 못한다는 질책을 받았다.

1600년 다시 도승지 · 예조참판을 거쳐 부제학이 되었을 때, 이미 고인이 된 성혼(成渾)에 대해 왕을 호종하지 않았고 간신들과 한 당이었다고 탄핵해 추삭(追削)하게 하였다.

1602년 대사간이 되었으나 체직을 원해 이조참판으로 옮겼다. 이후 대사성 · 도승지 · 병조참판을 거쳐, 1604년 공조판서에 올라 『명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그 뒤 충청도관찰사 · 동지중추부사를 역임하고, 1608년(광해군 즉위년) 선조가 죽자 산릉도감제조(山陵都監提調)를 거쳐 예조판서가 되었다. 그러나 장마로 산릉이 무너지자 그 책임으로 파직되었다. 시호는 효정(孝貞)이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사마방목(司馬榜目)』
『성호문집(星湖文集)』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전고대방(典故大方)』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