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한신앙 ()

목차
관련 정보
완주 봉서사 전경
완주 봉서사 전경
불교
개념
나한을 신앙 대상으로 삼는 불교신앙.
내용 요약

나한신앙은 나한을 신앙 대상으로 삼는 불교 신앙이다. 나한은 아라한(阿羅漢)의 준말이다. 살적(殺賊), 응공(應供), 응진(應眞)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석가모니의 10대 제자를 비롯하여 16나한, 오백나한을 나한신앙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나한은 삼명, 육신통, 팔해탈법을 모두 갖추어서 인간과 천인들의 소원을 속히 성취시켜 주는 복전(福田)이라 하였다. 대표적인 나한도량으로는 함경남도 길주군 석왕사,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사, 전라북도 완주군 봉서사, 서울 수유동 삼성암 등이 있다.

목차
정의
나한을 신앙 대상으로 삼는 불교신앙.
내용

나한은 주29의 준말로 의역하여 살적(殺賊) · 응공(應供) · 응진(應眞)이라고 한다. 살적은 수행의 적인 모든 번뇌를 항복받아 죽였다는 뜻이고, 응공은 모든 번뇌를 끊고 도덕을 갖추었으므로 인간과 천상의 공양을 받을 만하다는 뜻이며, 응진은 ‘진리에 상응하는 이’라는 뜻이다.

이 아라한은 주1 · 주2 · 주3의 삼명(三明)과 주4 · 주5 · 주6 · 주7 · 주8 · 주9의 육신통(六神通), 팔해탈법(八解脫法) 등을 모두 갖추어서 인간과 천인들의 소원을 속히 성취시켜 주는 주10이라고 하여 일찍이 신앙대상으로 존숭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석가모니의 10대 제자를 비롯하여 16나한, 오백나한을 주로 나한신앙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규모가 큰 대부분의 사찰에는 영산전(靈山殿)을 두고 중앙에 석가모니불, 좌우에 10대 제자 또는 16나한 · 18나한 · 오백나한을 봉안하고 있다. 나한전이나 응진전(應眞殿)을 따로 건립한 사찰도 많다.

10대 제자는 지혜제일 주11, 신통제일 주12, 고행제일 주13, 해공제일 주14, 선법제일 주15, 논의제일 가전연(迦旃延), 천안제일 아나율(阿那律), 지계제일 주16, 다문제일 주17, 밀행제일 라후라(羅睺羅)를 가리킨다.

16나한은 빈두루 바바라타사 · 가락가발사 · 가라가바리타사 · 소빈타 · 낙구라 · 발타라 · 가리가 · 벌사라불다라 · 술박가 · 반탁가 · 라호라 · 나가사나 · 인게라 · 벌라바사 · 아시다 · 주다반탁가 등이다. 이 16나한에 제빌다라와 빈두루 두 존자를 더하여 18나한이라 한다.

우리나라에서 나한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삼국유사』의 「가락국기(駕洛國記)」에서 수로왕이 도읍을 정한 뒤 “산천이 빼어나서 가히 16나한이 살 만한 곳이다.”라고 한 것이다. 또한 통일신라시대에 보천(寶川)오대산에서 수행할 때 북대(北臺)의 상왕산(象王山)에 석가여래와 함께 오백 대아라한이 나타났다고 한다.

그는 또, 주18 전에 북대의 남쪽에 나한당(羅漢堂)을 두어 원상석가(圓像釋迦)와 검은 바탕에 석가여래를 수반으로 오백나한을 그려 주19하고, 낮에는 『불보은경(佛報恩經)』과 『열반경(涅槃經)』을 읽게 하고 밤에는 열반예참(涅槃禮懺)을 행하게 하며, 이름을 백련사(白蓮寺)로 하라는 유언을 남겼다. 이는 통일신라시대에 이미 나한신앙이 성행하였음을 입증하는 자료가 된다.

고려 때는 923년(태조 6) 태조가 양(梁)나라에 보냈던 사신 윤질(尹質)이 오백나한상을 가지고 귀국하자 해주 숭산사(崇山寺)에 봉안하게 하였다. 그 뒤 고려왕실에서는 나한재(羅漢齋)를 자주 베풀었다.

1053년(문종 7) 9월에는 문종신광사(神光寺)에서, 1090년(선종 7)에는 선종삼각산 신혈사(神穴寺)에서 오백나한재를 베풀었고, 1098년(숙종 3)에는 숙종외제석원(外帝釋院)왕륜사(王輪寺)에서 나한재를, 이듬해 4월에는 보제사(普濟寺)에서 오백나한재를 베풀었다.

1102년(숙종 7)에는 숭산 신호사(神護寺)에서 오백나한재를 베풀었고, 1166년(의종 20)에는 의종이 보제사 나한전에서 1만 등을 밝혔으며, 이듬해에는 금신굴(金身窟)에서 나한재를, 1169년(의종 23)에는 의종이 친히 주30을 써서 산호정(山呼亭)에서 나한재를 베풀었다.

1173년(명종 3)에는 명종이 외제석원에서 나한재를 베풀었고, 1176년에는 왕륜사(3월)와 보제사(4월)에서 오백나한재를, 1177년에는 외제석원과 왕륜사에서 나한재를, 1178년에 3월에 보제사에서 오백나한재와 4월에 왕륜사에서 나한재를 베풀었다.

1203년(신종 6)에는 신종이 보제사에서 오백나한재를 베풀었고, 1262년(원종 3)과 1269년에는 원종이 보제사에서 오백나한재를 베푸는 등 왕실에서 주관한 것만도 28회가 『고려사』에 기록되어 있다. 이 나한재는 주로 보제사와 왕륜사 · 외제석원 · 숭산사 등에서 행해졌으며, 그 목적은 나한에 대한 기도를 비롯하여 비오기를 기원하거나 지방의 반란을 진압하고자 하는 등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고려시대 이후 우리나라 대부분의 큰 사찰에는 나한을 봉안하는 영산전이나 나한전, 오백나한전 등이 건립되었다. 이성계(李成桂)가 왕이 되기 전에 이상한 꿈을 꾸고 안변 설봉산(雪峰山)의 토굴에서 공부하는 대사 무학(無學)을 찾아서 해몽을 부탁하였다. 무학은 장차 크게 귀한 자리에 오를 징조라 하면서 “나한전을 세우고 오백나한을 봉안하여 500일 동안 기도하라.”고 하였다.

그 때 함경도 길주 광적사(廣積寺)가 화재로 폐사가 되어 오백나한이 딴 곳에 안치되어 있었으므로, 석왕사(釋王寺)를 창건한 뒤 오백나한을 배로 운반하여 안변해안에 두고 하루에 하나의 나한상만 옮기면서 500일 동안 기도하였다. 그러나 마지막 남은 2구의 나한상을 한꺼번에 옮겨 나한전에 안치하였는데 그 2구가 이에 노하여서 밤 사이에 어디론지 사라져 버렸으며, 그 뒤 묘향산 상비로봉에서 나타났다는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태종 때에는 주20 변계량(卞季良)이 나한재를 지냈다는 기록이 있다. 태종이 연회를 베풀었을 때 변계량도 참여하였으나 고기를 먹지 않았다. 이에 태종은 “경이 나한재를 지낸다는 것을 나는 알고 있다.”고 하였다. 1422년(세종 4) 5월에는 세종이 호조판서 신호(申浩)길상사(吉祥寺)에 보내서 나한재를 베풀었고, 1428년 9월에는 세종이 예조의 건의에 따라서 태조가 창건한 석왕사를 주21하고 나한재와 시왕재(十王齋)를 베풀 수 있도록 토지 50결(結)을 내렸다.

1436년 6월에는 집현전 부제학 안지(安止) 등이 “경성 안의 인왕동(仁王洞)에 나한당이 있는데 귀천남녀를 물을 것 없이 내왕연락하니 뒤에는 금지할 수 없게 될 것”이라 하면서 나한당을 폐쇄할 것을 상소하였다. 이로 미루어 보아 억불정책 속에서도 나한신앙이 상당히 성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1465년(세조 11) 3월에는 세조원각사(圓覺寺)에서 나한의 분신사리(分身舍利)를 봉안하였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는 나한에게도 사리가 있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1480년(성종 11) 5월 23일에는 원각사의 대광명전(大光明殿)에서 주22를 지냈는데 이튿날 아침에 성수(性修)와 지일(智一)이 “동쪽의 제1나한이 돌아선 것을 보았다.”고 하여 의금부에서 성수를 불러 주23한 일이 있었다. 그러나 대승불교를 믿는 우리나라에서는 대승의 보살과는 달리 나한을 소승의 성자라 하여 참선을 하는 고승들이 대단치 않게 취급하는 경우도 많았다.

이는 우리나라 나한신앙이 가지고 있는 특징이기도 하다. 특히 석가모니의 주24이라고 하는 진묵(震默)과 율봉(栗峯)은 나한에 얽힌 주25을 보인 대표적인 고승이다. 진묵은 전라북도 완주군 봉서사(鳳棲寺)에 있을 때 관재(官財) 수백 냥을 축낸 뒤 도망하겠다는 아전에게 나한재를 올릴 것을 권하였다.

나한재를 올리자, 진묵은 아전에게 비어 있는 형방(刑房)을 자청해서 맡도록 한 뒤 주장자(柱杖子)로 나한의 머리를 차례로 때리면서 “아전의 일을 잘 보아주어라.”고 하였다. 나한들은 그 아전의 꿈에 나타나 “네가 구하는 일을 우리에게 말하지 않고 어찌 대사에게 말하여 우리를 괴롭히느냐?”고 하였다. 그때에 마침 죄인들이 많이 생겼고, 뇌물을 주는 자가 많았으므로 한 달 만에 축낸 관재를 모두 갚고 죄를 모면했다고 한다.

또 진묵이 길을 가다가 한 주26을 만나서 동행하게 되었다. 한 강가에 이르러서 사미가 “먼저 물을 건너보아서 그 깊이를 알게 하겠다.”고 한 뒤 옷을 걷고 건너는데 물이 깊지 않은 듯하였다. 진묵도 옷을 걷고 건너다가 깊은 물에 빠지게 되었다. 진묵은 이것이 나한의 장난임을 깨닫고 “잿밥이나 즐기는 나한이 작은 신통은 나보다 나으나 대도(大道)는 마땅히 늙은 나에게 물어야 한다.”고 하면서 나한을 꾸짖었다.

한편, 금강산 마하연(摩訶衍)에서 수도한 조선 후기의 고승 율봉은 신도들이 기도를 오면 불공을 올리지 않고 주27을 한 뒤 나한전에 가서 주장자로 나한의 머리를 치면서 신도들의 소원을 들어줄 것을 명하였는데, 나한들은 큰스님의 분부라 하여 그대로 시행하였다. 하루는 사미승이 와서 예배하고 어떤 별실로 인도하였는데 그곳이 얼마 뒤 변소로 바뀌었다.

율봉은 나한의 장난임을 깨닫고 이튿날 아침에 주장자로 나한상의 머리를 부수려고 하자 대중들이 나한전 앞에 모여서 주28하였다. 간밤 꿈에 사미승이 나타나서 “내일 아침에 큰스님이 우리를 부수려고 하니 막아달라.”고 부탁하였다는 것이다. 율봉은 웃으면서 “소승이란 요사스럽다.”고 나무랐다는 설화가 전한다.

그러나 민간에서는 나한이 계율을 깊이 지키고 성격이 괴팍하다는 이유로 나한재를 지낼 때 특별히 몸가짐에 신경을 쓴다. 그리고 나한에게 정성을 다하여 기도하면 반드시 소원이 성취된다고 하여 복을 구하는 자들은 지극히 신봉하고 있다.

현재에도 우리나라에서는 나한신앙이 크게 성행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나한도량으로는 함경남도 길주군 석왕사, 경상북도 영천시 거조암(居祖庵),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사(雲門寺), 전라북도 완주군 봉서사, 서울 수유동 삼성암(三聖庵) 등을 꼽을 수 있다.

참고문헌

『삼국유사』
『고려사』
『이조실록불교초존(李朝實錄佛敎抄存)』
『진묵대사유적고(震默大師遺蹟考)』(의순)
『조선불교통사』(이능화, 신문관, 1918)
주석
주1

삼명(三明)의 하나. 자기나 남의 내세의 일을 아는 지혜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2

삼명(三明)의 하나. 자기와 남의 전생을 아는 지혜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3

삼명(三明)의 하나. 현재의 고통을 알아서 일체의 번뇌를 끊는 지혜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4

세간(世間) 일체의 멀고 가까운 모든 고락의 모양과 갖가지 형(形)과 색(色)을 환히 꿰뚫어 볼 수 있고, 자기와 남의 미래세에 관한 일을 내다볼 수 있는 신통한 능력.    우리말샘

주5

세간의 좋고 나쁜 모든 말과 멀고 가까운 말, 여러 나라 각 지역의 말, 나아가 짐승과 귀신의 말에 이르기까지 듣지 못할 것이 없는 신통한 능력.    우리말샘

주6

남의 마음속을 꿰뚫어 볼 수 있는 신통한 능력.    우리말샘

주7

뜻대로 모습을 바꾸거나 마음대로 어디든지 날아갈 수 있는 신비한 능력.    우리말샘

주8

전생을 아는 신통한 능력.    우리말샘

주9

번뇌를 끊고 다시는 미계(迷界)에 태어나지 않음을 깨닫는 각자(覺者)의 신통력.    우리말샘

주10

복을 거두는 밭이라는 뜻으로, 삼보(三寶)ㆍ부모ㆍ가난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삼보를 공양하고 부모의 은혜에 보답하며 가난한 사람에게 베풀면 복이 생긴다고 한다.    우리말샘

주11

‘사리푸트라’의 음역어.    우리말샘

주12

부처의 교화를 펼치고 신통(神通) 제일의 성예(聲譽)를 얻은 석가모니의 제자. 마가다의 브라만 출신이다.    우리말샘

주13

‘마하카시아파’의 음역어.    우리말샘

주14

‘수부티’의 음역어.    우리말샘

주15

석가모니의 십대 제자 중의 한 사람(?~?). 설법을 잘하였으며 음성이 매우 맑고 고왔다고 한다.    우리말샘

주16

‘우팔리’의 음역어.    우리말샘

주17

‘아난다’의 음역어.    우리말샘

주18

죽음을 맞이함.    우리말샘

주19

신주(神主)나 화상(畫像)을 받들어 모심.    우리말샘

주20

홍문관 벼슬아치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1

낡은 건물을 헐거나 고쳐서 다시 지음.    우리말샘

주22

부처가 중생을 교화하는 일.    우리말샘

주23

죄나 잘못을 따져 묻거나 심문함.    우리말샘

주24

어떤 추상적인 특질이 구체화 또는 유형화된 것.    우리말샘

주25

기이한 행적.    우리말샘

주26

십계(十戒)를 받고 구족계(具足戒)를 받기 위하여 수행하고 있는 어린 남자 승려.    우리말샘

주27

신자(信者)가 여러 승려에게 음식을 차려 대접하는 일.    우리말샘

주28

붙들고 못 하게 말림.    우리말샘

주29

소승 불교의 수행자 가운데서 가장 높은 경지에 오른 이. 온갖 번뇌를 끊고, 사제(四諦)의 이치를 바로 깨달아 세상 사람들의 존경을 받을 만한 공덕을 갖춘 성자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30

제사 때에 읽어 신명(神明)께 고하는 글.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종익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