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헌집 ()

수헌집
수헌집
유교
문헌
조선 전기의 문신, 권오복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585년에 간행한 시문집.
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 권오복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585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초간본은 1585년(선조 18) 권오복의 종손 권문해(權文海)에 의해 편집·간행되었으며, 그 뒤 중간된 바 있다. 권두에 박승임(朴承任)의 서문, 권말에 유성룡(柳成龍)과 권문해의 발문이 있고, 이휘령(李彙寧)이 쓴 중간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3권 2책. 목활자본. 국립중앙도서관과 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내용

권1·2에 시 216수, 권3에 잡저로 사(辭) 1편, 부(賦) 2편, 전(箋) 1편, 표(表) 1편, 기(記) 1편, 묘지명 1편, 축문 3편, 기우제문(祈雨祭文) 8편, 제문 10편, 부록에는 서육현배(書六絃背)·송권향지부야성(送權嚮之赴野城)·송권후부야성사(送權侯赴野城辭)·이요헌기(二樂軒記)·무오사화사적(戊午士禍事蹟)·유자광전(柳子光傳) 등이 수록되어 있고, 이어 속집 부록에는 점필재문인록(佔畢齋門人錄)·무오당적(戊午黨籍)·상향축문(常享祝文) 등 10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1에 수록된 시는 주로 기행시로서 여정(旅情)이나 우수를 읊은 것, 객지에서 별리(別離)의 슬픔을 나타낸 차운(次韻)·증여(贈與)·화답(和答)에 대한 것이 많다. 권2에 수록된 것은 비교적 긴 배율로 정치적·시사적인 문제들을 많이 다루고 있다.

권3의 부 가운데 「애련부(愛蓮賦)」는 1567년(명종 22) 명나라의 조사(詔使)인 허국위(許國魏)가 우리나라의 시부 가운데에 걸작을 보여 달라고 요청했을 때 당시 허국위를 접반했던 이황(李滉)이 추천했던 작품이다.

잡저 가운데 「의송한기청파신법표(擬宋韓琦請罷新法表)」에서는 제도를 바꾸어 새롭게 변화시키려 할 때는 언제나 옛날 성현들의 법도를 따라야 하고, 권신들의 사적인 재산만을 늘리려고 하는 함정이 있는지를 면밀히 살펴 그 시행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것을 역설하였다.

「향사당기(鄕射堂記)」는 당시 각 지방의 자치 행정 기구인 유향소(留鄕所)와 향사당의 직제(職制)와 임무 등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어 당시의 지방 행정 제도를 연구하는 데 참고 자료가 된다.

부록에 실린 「서육현배」는 김일손(金馹孫)의 글로, 6현의 거문고를 고구려 재상 왕산악(王山岳)이 처음 만들었다는 것과 평조(平調)와 우조(羽調)의 곡은 신라에서 제작하였다는 사실을 언급하고, 여가에 권오복과 같이 거문고를 배웠다는 말이 들어 있다.

「송권향지부야성」·「송권후부야성사」 등은 저자의 친지들이 저자의 인품과 덕행을 기린 글들이다. 「유자광전」·「무오사화사적」·「무오당적」 등은 무오사화가 일어난 당시의 정치적인 상황을 이해하는 데 참고 자료가 된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한여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