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광하 ()

유교
인물
조선후기 공조참의, 첨지중추부사, 좌승지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이칭
문초(文初)
진택(震澤)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29년(영조 5)
사망 연도
1796년(정조 20)
본관
고령(高靈)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공조참의|첨지중추부사|좌승지
정의
조선후기 공조참의, 첨지중추부사, 좌승지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개설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문초(文初). 호는 진택(震澤).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신호(申澔)이며, 어머니는 완산이씨(完山李氏) 판서(判書) 이천령(李千齡)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51년(영조 27)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그 후로 전국을 유람하고, 1778년 금강산(金剛山)을 구경하고, 1784년 백두산(白頭山)에 올라서 대각산(大角山)에서 산제(山祭)를 지내고, 추풍등대각(秋風登大角)에 낙일견중원(落日見中原)의 시구를 남겼다.

1786년 조경묘참봉(肇慶廟參奉)에 제수되고 그 뒤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형조좌랑·인제현감(麟蹄縣監)·우승지·공조참의를 거쳐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좌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신광하는 일생 동안 시문(詩文)을 좋아하여 삼천리 강산을 유람하며 지은 시를 『남유록(南遊錄)』·『사군록(四郡錄)』·『동유록(東遊錄)』·『북유록(北遊錄)』·『백두록(白頭錄)』·『풍악록(楓岳錄)』·『서유록(西遊錄)』 등으로 묶어서 2,000여수의 주옥같은 시를 남겼다.

「곡석북선생(哭石北先生)」 100수, 『동해록(東海錄)』 중의 「금강산가(金剛山歌)」 ·「구룡폭포가(九龍瀑布歌)」 등은 소슬한 그의 진경을 묘사하고 있고, 『서유기(西遊記)』중의 「파옥가(破屋歌)」와 그의 만년작인 「군불견진택선생가(君不見震澤先生歌)」 등은 백미(白眉)의 시구라 할 것이다.

그 외에도 단양산수(丹陽山水)의 청초하고도 기이한 풍경을 그림같이 그려내는 사군기행(四郡紀行)이나 50여 일을 답사하며 그림처럼 묘사한 금강유람(金剛遊覽)의 기행은 고금을 통해 가장 상세한 기행문이라 할 것이다.

신광하는 목만중(睦萬中)·이헌경(李獻慶)·정범조(丁範祖) 등과 함께 당대 사문장(四文章)으로 꼽히었다. 저서로는 『진택문집(震澤文集)』이 있다.

참고문헌

『진택문집(震澤文集)』
집필자
윤혁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