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안눌 ()

이안눌 초상
이안눌 초상
한문학
인물
조선 후기에, 충청도순찰사, 형조판서, 홍문관제학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자민(子敏)
동악(東岳)
시호
문혜(文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71년(선조 4)
사망 연도
1637년(인조 15)
본관
덕수(德水)
내용 요약

이안눌은 조선 후기에, 충청도순찰사, 형조판서, 홍문관제학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1571년(선조 4)에 출생하여 1637년(인조 15)에 사망하였다. 자는 자민, 호는 동악이고, 시호는 문혜(文惠)이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왕을 호종하여 남한산성으로 갔다. 전쟁이 끝난 후에 병세가 악화되어 죽었다. 당시(唐詩)에 뛰어나 이태백에 비유되었다. 문집에 실린 4,379수라는 방대한 양의 시는 지역과 관련된 내용이 많아서 민중 생활사와 사회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저서에 『동악집』 26권이 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충청도순찰사, 형조판서, 홍문관제학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자민(子敏), 호는 동악(東岳). 좌의정 이행(李荇)의 증손이다. 할아버지는 이원정(李元禎)이고, 아버지는 진사 이형(李泂)이며, 어머니는 경주 이씨로 대호군(大護軍) 이양(李崵)의 딸이다. 재종숙부인 사헌부감찰 이필(李泌)에게 입양됐다. 이식(李植)의 종숙(從叔)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이안눌은 18세에 진사시에 수석합격한다. 그러나 동료들의 모함을 받자 관직에 나갈 생각을 버리고 오직 문학 공부에 열중했다. 이 시기에 동년배인 권필(權韠)과 선배인 윤근수(尹根壽) · 이호민(李好閔) 등과 교우를 맺었다. 이들의 모임을 동악시단(東岳詩壇)이라고 한다.

29세 되던 해인 1599년(선조 32) 다시 과거 시험을 봐 문과에 급제했으며 이후 여러 언관직(言官職)을 거쳐 예조이조정랑으로 있었다. 1601년(선조 34) 서장관(書狀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온 뒤에 성균직강(成均直講)으로 옮겨 봉조하(奉朝賀)를 겸했다. 공조로 옮겼다가 주시관(主試官)으로 호서와 관서지방에 나갔다가 다시 예조에 들어온 후 단천군수가 됐다.

1607년 홍주목사 · 동래부사를 거쳐 1610년 담양부사가 됐다. 부사가 된지 1년 만에 병을 이유로 관직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왔다. 3년 후에 경주부윤이 됐고 호조참의 겸 승문원부제조로 임명됐다. 그 후에 다시 동부승지에서 좌부승지가 됐으나 사직한다. 이후에 강화부사가 된다.

그 후에 어머니의 삼년상을 마치고, 인조반정으로 예조참판에 임명됐으나 그를 비방하는 말들이 생겨나자 사직했다. 이듬해에 이괄(李适)의 난을 방관했다는 죄로 귀양을 갔다가 1627년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사면됐고 다시 강도유수(江都留守)에 임명됐다.

1631년에는 함경도관찰사가 됐고 다음해에 예조판서 겸 예문관제학을 거쳐 충청도순찰사에 제수됐다.

조정에서 청렴하며 근면한 관리로 뽑혀 숭정대부(崇政大夫)가 되어 형조판서 겸 홍문관제학에 제수됐다. 같은 해(1636년) 겨울에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병든 몸을 이끌고 왕을 호종하여 남한산성으로 갔다. 전쟁이 끝나고 서울로 돌아온 후에 병세가 악화돼 죽었다.

그은 작품 창작에 최선을 다하여 문집에 4,379수라는 방대한 양의 시를 남겼다. 두보(杜甫)의 시를 만 번이나 읽었다고 한며 시를 지을 때에 하나의 글자도 가볍게 쓰지 않았다고 전한다. 특히, 당시(唐詩)에 뛰어나 이태백(李太白)에 비유됐고 서예 또한 뛰어났다.

정철(鄭澈)「사미인곡」을 듣고 지은 「문가(聞歌)」가 특히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또한 고답적 표현을 버리고 절실한 주제를 기발한 생각으로 표현한 점에서 높이 평가된다.

한편, 임진왜란이 끝난 다음에 동래부사로 부임하여 지은 「동래사월십오일(東萊四月十五日)」은 전쟁의 상처를 형상화한 내용으로 사실적 표현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내용은 왜적이 동래에 쳐들어왔을 때 관민이 함께 막으려다 장렬하게 전사한 사연을 담고 있다.

이러한 시를 통해 그가 체험한 임진왜란이 가져다준 참상을 그려볼 수 있다.

또한, 명나라로 사행가면서 지은 시에서는 명나라에 대한 외교적 자료를 발견할 수 있다.

저서로는 『동악집(東岳集)』 26권이 있다. 1985년 여강출판사(驪江出版社)에서 영인해 출판했다. 그의 문집에 실린 시는 자신이 옮겨 다닌 지방을 중심으로 묶여 있다. 지방의 민중생활사와 사회사 연구에 필요한 자료를 담고 있다.

상훈과 추모

숭록대부 ·의정부좌찬성 겸 홍문관대제학 · 예문관대제학에 추증됐다. 담양의 구산서원(龜山書院)과 면천의 향사에 제향됐다. 시호는 문혜(文惠)이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인조실록(仁祖實錄)』
『동악집(東岳集)』
『택당집(澤堂集)』
『백헌집(白軒集)』
『청음집(淸陰集)』
『송자대전(宋子大全)』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진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