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혁정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후기 야별초지유, 충청도안찰사 등을 역임한 관리. 무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273년(원종 14) 윤6월
본관
미상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야별초지유
관련 사건
삼별초항쟁
목차
정의
고려후기 야별초지유, 충청도안찰사 등을 역임한 관리. 무신.
생애 및 활동사항

가계와 출신지는 자세히 알 수 없다. 제주도에서 삼별초항쟁을 이끈 김통정(金通精)과 일족이었던 인물로 추정된다.

김준정권 때 야별초지유(夜別抄指諭)가 되었다. 1267년(원종 8) 9월 김준이 자신의 부탁을 거절한 충청도안찰사(忠淸道按察使) 변보(邊保)를 왕에게 아뢰어 유배보내고, 야별초 지유인 김혁정에게 대신하게 하였다.

1270년(원종 11) 6월 장군 배중손(裵仲孫)이 강도조정의 출륙환도(出陸還都)와 원종의 삼별초 해산령에 불복하며 삼별초를 이끌고 대몽항쟁을 선포하였다. 배중손은 왕족 승화후(承化侯) 왕온(王溫)을 새로운 왕으로 삼고 관부(官府)를 세워 독립적인 정부를 구성하였다. 이때 김혁정은 삼별초정부에 가담한 것으로 보인다.

삼별초정부는 강화도에서 진도로 항전의 거점을 옮겨 남해도·거제도·제주도 등 30여 개 섬뿐만 아니라 전라도·경상도 육지에도 세력을 뻗쳤다. 그러나 1271년(원종 12) 5월 고려군 원수 김방경(金方慶)과 몽골군 대장 흔도(忻都)가 이끈 고려와 몽골 연합군의 총공세로 진도가 함락되었다. 이에 삼별초는 다시 김통정(金通精)을 중심으로 그 근거지를 탐라(耽羅: 제주도)로 옮겨 저항을 계속하였다. 이때 김혁정은 탐라에 따라 들어갔다. 김혁정은 김통정의 참모 역할을 하면서 항파두성(缸坡頭城)·환해장성(環海長城) 등을 축조하는데 일익을 담당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1273년(원종 14) 4월 28일 김방경·흔도·홍다구(洪茶丘) 등이 전라도 배 160척과 수륙병(水陸兵) 1만여 명으로 탐라를 공격하여 항파두성을 함락시켰다. 함락 직전에 김통정·김혁정 등은 한라산에 피신하여 항전을 지속하였다. 같은 해 윤6월 김혁정은 이기(李奇) 등 70여 인과 함께 탐라유진장군(耽羅留鎭將軍) 송보연(宋甫演)에 의해 체포되어 홍다구에게 죽임을 당하였다. 이로써 삼별초항쟁은 종식되었으며 원 간섭 하에 제주에 탐라총관부(耽羅摠管府)가 두어졌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고려 삼별초의 대몽항쟁』(윤용혁, 일지사, 2000)
『고려시대 탐라사 연구』(김일우, 신서원, 2000)
『고려의 무인정권』(김당택, 국학자료원, 1999)
「삼별초 대몽항쟁의 주도층과 그 의미」(김일우·이정란, 『제주도사연구』11, 2002)
「몽고의 침입에 대한 항쟁」(윤용혁, 『한국사』20, 국사편찬위원회, 1994)
「무신정권의 붕괴와 그 역사적 성격」(정수아, 『한국사』18, 국사편찬위원회, 1993)
집필자
남인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