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고분(加耶古墳)은 낙동강 중하류역, 남강 유역, 섬진강 유역에 걸쳐 있는 삼국시대 가야의 무덤이다. 가야는 서기전 1세기부터 서기 6세기 중엽까지 존속하였다. 공간적 범위는 낙동강 중하류역과 남강 유역이 중심이지만, 가야 전성기인 5세기 후반 대~6세기 초엽 가야의 영역은 섬진강 유역권까지 이른다. 가야고분은 널무덤, 덧널무덤, 구덩식돌덧널무덤, 굴식돌방무덤 등 계기적인 순으로 형식이 변화한다. 김해 대성동고분군, 고령 지산동고분군, 함안 말이산고분군, 고성 송학동고분군 등이 유력 가야 세력의 왕묘역이다.
고고학적 관점에서 가야의 시기별 특징을 가장 잘 살펴볼 수 있는 자료는 무덤 자료이다. 가야고분은 널무덤[목관묘(木棺墓)], 덧널무덤[목곽묘(木槨墓)], 구덩식돌덧널무덤 [(수혈식석곽묘(竪穴式石槨墓)], 굴식돌방무덤 [횡혈식석실묘(橫穴式石室墓)] 등 계기적인 순으로 형식이 변화하였다.
이러한 무덤의 변화를 통해서도 가야의 사회, 문화, 관념, 장제(葬制), 대외 교류 등 가야사의 전반적인 흐름을 유추할 수 있다. 널무덤은 서기전 1세기부터 서기 2세기까지 주로 축조되며 가야의 기원인 변한과도 관련된다. 덧널무덤은 2세기 후반부터 4세기 대에 주로 조영되었는데, 이 단계는 가야의 성장기이다.
구덩식돌덧널무덤은 4세기 후반 대에 김해 지역 일대에서 먼저 출현하여 6세기 중엽 가야 멸망기까지 존속하였는데, 이 시기는 후기가야에 해당한다. 구덩식돌덧널무덤과 굴식돌방무덤이 조영되는 가야 후기는 대개 대형의 분구인 고총(高塚)이 축조된다. 굴식돌방무덤은 가야 말기인 6세기 대에 주로 축조되어 가야의 쇠퇴기로 볼 수 있다.
영남 각지에서는 서기전 1세기 초를 전후해서 널무덤이 군집을 이루며 조영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널무덤의 군집화는 진한 · 변한의 성립을 의미하는 증거이면서도 가야의 기원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널무덤은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 한국식 동검문화와 함께 새로이 채용되었으며, 땅에 구덩이를 파고 시신이 안치된 널을 묻은 형태이다. 영남 지역에서는 서기전 1세기부터 서기 2세기까지 주로 사용된 무덤 형식이다. 널무덤은 주로 구릉의 경사면 아래 또는 평지에 만들어지며 공동묘지의 형태를 띤다. 무덤의 방향은 시신의 머리를 동쪽으로 두는 특징이 있다. 널무덤의 규모는 길이 3m 내외, 너비 1m 내외가 일반적인 크기로서 그 규모가 비슷하다.
가야 권역에서는 김해 대성동고분군, 김해 양동리고분군, 함안 도항리고분군, 창원 다호리고분군 등이 대표적이다. 무덤의 규모나 입지로 보면, 동일 집단 내에서는 그 구분이 뚜렷하다고 보기 어렵다. 다만, 일부 널무덤에서 철기와 청동기, 칠기, 토기 등은 원거리에서 수입된 장신구와 위세품이 다량으로 부장된 경우가 있다.
가야 권역에서 널무덤이 밀집된 유적이 많지 않다는 점에서, 군집된 널무덤 유적은 가야 전기의 유력 정치체와 관련 지어 볼 수 있다. 널무덤은 내부에 안치된 널의 재질 및 형태에 따라서 두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즉, 널을 통나무나 판재로 만들었는데 통나무관이 판재관보다 먼저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
가야라는 정치체의 실상을 본격적으로 보여주는 묘제는 널무덤을 대신해 2세기 중엽부터 등장하는 덧널무덤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가야 수장층(首長層)에 의해 대형 덧널무덤이 축조되는 시기는 대략 3세기 후반경에 해당한다. 이때에 이르러 김해 대성동고분군에서는 입지와 규모, 부장유물 등에서 이전 시기와 큰 차이를 보이는 대형 덧널무덤들이 등장하기 시작한다.
특히, 대성동 29호분은 구릉 상부에 입지한 대형 덧널무덤으로 순장(殉葬)이 최초로 확인되고, 피장자의 발치 쪽에 토기를 다량 매납한 부장 공간을 마련한 것도 주목된다. 이어서 축조된 대성동 13호분부터는 피장자 발치 쪽에 주곽(主槨)과는 별도의 부곽(副槨)을 설치한 이혈주부곽식(異穴主副槨式) 덧널무덤으로 발전하게 되는데, 이는 소위 신라식 덧널무덤이라 불리면서 경주와 그 주변 지역에서 유행한 동혈주부곽식(同穴主副槨式) 덧널무덤과 대비된다.
이처럼 덧널무덤의 규모가 커지고, 무덤의 축조에 많은 인원과 물품을 소비하는 것은 그러한 장례 행위를 통해 권력을 과시하고 사회적 통합과 지배를 이루고자 하였기 때문이다. 덧널무덤은 널무덤보다 부장품을 훨씬 많이 부장할 수 있다. 또한 같은 덧널무덤이라도 신분에 따라서 덧널무덤의 규모와 부장품의 질과 양도 많은 차이가 있다.
대형 덧널무덤의 규모는 길이가 8~10m에 이른다. 3세기 대 덧널무덤에 비해 4세기 대의 무덤은 깊이가 더욱 깊어지고 덧널의 높이도 높아진다. 그리고 무덤 구덩이를 팔 때 나온 흙과 외부에서 반입된 점토를 피복하여 높은 봉토를 의도적으로 만들었다.
가야무덤의 형식은 5세기를 전후한 시기부터 구덩식돌덧널무덤으로 전환되기 시작하였고, 이후에는 거대한 봉분을 갖춘 고총으로 발전하여 가야권 곳곳에 구덩식돌덧널무덤을 매장 주체부로 한 고총고분군이 조영되었다.
대표적인 예가 고령 지산동고분군, 함안 말이산고분군, 고성 송학동고분군 등이다. 이러한 가야 구덩식돌덧널무덤은 길이와 너비의 비율이 5:1 이상의 세장방형이 일반적이어서 신라의 장방형 석곽묘와 대비된다.
구덩식돌덧널무덤은 가야를 대표하는 무덤 형식이자 가야가 가장 융성하였을 시기에 성행하였다. 이 무덤 형식은 묘광 내에 깬돌 혹은 판석, 하천석 등을 쌓아서 돌덧널을 만든 후 내부에 시신과 부장품을 안치하고 석개 또는 목개로 영구 밀봉한다. 시신을 위에서 아래로 내려 안치하는 매장 방식을 따르고 있어 굴식돌방무덤과 달리 추가장이 불가능한 구덩식이다.
초기 구덩식돌덧널무덤의 묘광은 길이에 비해 폭이 넓고 돌덧널 위를 덮는 뚜껑으로 나무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앞선 시기의 덧널무덤 구조의 계승으로 보는 견해가 많다. 구덩식돌덧널무덤은 동시기 고구려, 백제, 신라의 무덤 형식과 구분되는 특징적인 가야의 무덤 양식이라고 할 수 있다.
6세기로 접어들면서 가야 지역에는 굴식돌방무덤이 지역 수장층을 중심으로 축조되기 시작하였다. 돌방무덤은 돌방의 단벽(短壁)을 그대로 사용한 앞트기식[횡구식(橫口式)]과 돌방으로 진입하는 널길을 마련한 굴식[횡혈식(橫穴式)]으로 구분되는데, 앞트기식은 합천 지역 등지에서 일부 확인될 뿐 가야 지역 내 돌방무덤은 대부분 굴식돌방무덤이다.
돌방무덤은 크게 2개 유형으로 구분된다. 첫 번째는 고령 고아동벽화고분을 조형으로 하는 일명 고아동식 석실로 좌 · 우편재형 널길과 장폭비 2:1 내외의 장방형 평면 형태가 기본 구조이고, 천장은 궁륭형(穹窿形) 또는 터널형에 해당한다. 두 번째는 진주 수정봉고분군, 진주 옥봉고분군을 조형으로 하는 일명 수정봉식 돌방으로 중앙 널길과 장폭비 3:1 내외의 세장방형 평면 형태가 기본 구조이고, 벽면 및 천장 형태는 수직 또는 사다리꼴에 해당한다.
고아동식 돌방은 주로 고령, 합천 지역의 대가야 권역에서 주로 확인되고, 수정봉식 돌방은 고성, 진주, 의령, 함안 등 소가야, 아라가야 권역에서 주로 확인된다. 기존 연구자들은 가야의 굴식돌방무덤의 출현 배경을 크게 두 가지 경로로 나누었는데, 하나는 왜(倭), 나머지 하나는 백제에서 찾았다.
먼저 5세기 이래로 줄곧 사용된 세장방형 구덩식돌덧널무덤의 단벽 중앙에 널길을 부착한 형태가 바로 전형적인 가야 돌방무덤이고 이것을 수정봉 유형(중동리 유형 혹은 송학동 유형)으로 설정하였다. 수정봉 유형의 중심연대는 6세기 전엽이며 널길의 부착은 왜의 영향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이것과 구별하여 장방형 평면 형태에 편재형 널길을 부착한 궁륭형 천장의 돌방을 고아동벽화고분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특히 고령 고아동벽화고분은 웅진기 백제 공주 지역 굴식돌방무덤을 직접 수용한 것으로 6세기 중엽을 중심연대로 보고 있다. 돌방의 구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세장방형-장방형-방형으로의 평면 형태의 변화를 보이며, 일정 수준 이상으로 정형화된 돌방의 분포권을 형성한 경우는 대가야 권역과 소가야 권역 내에서만 확인된다.
가야고분은 고분 축조 방법이나 묘곽의 배치 상태에서 지역적 특성을 보인다. 고령 지산동고분군과 함안 말이산고분군은 모두 지하에 토광을 파고 매장 주체부를 설치한 다음 그 위에 봉토를 덮은 것이다. 그러나 매장 주체부의 배치 상태와 구조는 양 고분군 사이에 차별성이 보인다. 즉, 함안 말이산고분군은 1봉토 1매장 주체부가 기본으로 부곽이 따로 없고, 돌덧널 벽에는 뚜껑돌을 받치기 위해 나무 가구(架構)를 설치하였던 흔적으로 벽감(壁龕)과 같은 구조가 남아 있는 것이 특징이다.
순장은 주피장자와 같은 곽에 이루어졌다. 한편, 고령 지산동고분군은 한 봉토 안에 돌덧널이 1개만 설치된 예도 있으나 으뜸덧널의 뒤쪽이나 옆에 딸린덧널이 설치된 예가 많고, 이 으뜸덧널과 딸린덧널을 중심에 두고 그 주위로 순장덧널이 돌아가는 예들이 많다. 순장은 순장덧널뿐만 아니라 중심부의 으뜸덧널과 딸린덧널에서도 이루어졌다.
고성 송학동고분군과 고성 내산리고분군 등 고성 지역의 고총은 지상에 먼저 분구를 쌓은 다음 분구 일부를 되파고 돌덧널이나 돌방을 설치한 것으로 고령, 함안 등지의 봉토분과는 달리 분구묘(墳丘墓)로 되어 있다. 이러한 사례는 영산강 유역 고분과 통하는 고분 축조 방식이다. 고성, 진주, 사천 등 소가야권의 고분에서는 여러덧널식이 성행하는데, 주변부의 중소형 덧널들은 순장이 아니라 추가장된 가족묘적 성격이 강하다.
한편, 가야 지역에는 6세기 초부터 경상남도 남해안을 중심으로 왜계(倭系) 돌방무덤이 등장한다. 알려진 왜계 돌방무덤은 거제 장목고분, 고성 송학동1B-1호분, 사천 선진리고분, 의령 경산리1호분, 의령 운곡리1호분 등인데, 모두 강가나 해안가에 인접한 것이 특징이다.
왜계 돌방무덤의 특징은 돌방벽 하단에 긴 장대석을 설치하는 경우, 돌방 내에 석관을 배치하는 경우, 돌방 입구에 문틀 시설이 있는 경우, 뒷벽의 선반 시설 등이다. 가야 지역 왜계 돌방무덤은 매장 시설을 중심으로 그 출현 배경과 피장자의 성격, 재지고분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가 다수 이루어졌으나 연구자 간의 시각 차이는 적지 않다.
가야는 삼국시대에 고구려, 백제, 신라와 함께 우리나라 고대사의 일부였지만, 삼국과 달리 문헌 사료가 매우 빈약하다. 따라서 가야의 역사를 밝히기 위해서는 고고 자료, 특히 가야고분에 대한 조사 · 연구가 필수적이다.
가야는 6세기 중엽 멸망 때까지 통합되지 못하고 여러 소국으로 분립되었는데, 그러한 양상이 고분 자료로도 뒷받침된다. 즉, 5세기 후반~6세기 초엽에 최대 20여 개국이 존재하였던 가야 여러 나라는 낙동강 중하류역, 남강 유역, 섬진강 유역에 걸쳐 대소의 가야고분군이 분포한다.
무덤 형식과 토기 양식으로 보면 금관가야, 대가야, 아라가야, 소가야, 비화가야 등으로 구분되어 가야 여러 나라 중에서도 김해, 고령, 함안, 고성, 창녕 등 5개 정도의 유력 가야 세력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즉, 김해 대성동고분군, 고령 지산동고분군, 함안 말이산고분군, 고성 송학동고분군, 창녕 교동고분군, 창녕 송현동고분군 등이 유력 가야 세력의 왕묘역(王墓域)이다.
가야고분은 널무덤, 덧널무덤, 구덩식돌덧널무덤, 굴식돌방무덤 등의 계기적인 순으로 형식이 변화한다. 가야고분에서는 백제, 신라, 왜, 중국 등 외래계 문물이 적지 않게 확인되어, 남해안을 매개로 활발한 대외 교역과 교섭을 하였음을 뒷받침한다. 특히, 백제와 왜의 교섭에 있어 중요한 중개처 역할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