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윤 ()

고대사
인물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황금서당 보기감을 역임한 장수.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684년(신문왕 4)
출생지
사량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황금서당 보기감을 역임한 장수.
개설

신라의 왕경(王京) 사량부(沙梁部) 사람이다. 김유신의 동생인 흠춘(欽春)의 손자이며, 반굴(盤屈)의 아들이다. 금마저(金馬渚 : 지금의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에 안치된 고구려 유민들이 684년 신라에 항거해 봉기하자, 이를 평정하기 위한 전투에 황금서당(黃衿誓幢)의 보기감(步騎監)으로 임명되어 출전하였다가 장렬히 전사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고구려 유민들이 진영을 갖추고 신라군에 대항하고 있음을 보고, 신라 군중에서는 궁지에 몰린 적을 쫓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내세워, 물러나 있다가 적이 피로해진 뒤에 공격하자는 의견이 있었다. 이에 함께 출전한 다른 장수들은 잠시 물러났으나, “군인은 전투에 임해 용맹해야 하고 진격만이 있을 뿐 후퇴가 있을 수 없다.” 하며 홀로 그 의견에 반대해 휘하의 부대만으로 분투하다 전사하였다.

그의 선조는 금관가야 왕족으로 532년(법흥왕 19) 신라에 투항해 와서 진골로 편입되었다. 또 고조부인 무력(武力) 때부터 대대로 무공을 세워 크게 이름을 떨치고 있었다. 무력은 백제의 성왕을 전사시키고 백제의 대군을 전멸시켜 대승리를 거둔 554년(진흥왕 15) 전투에서 당대의 명장으로 이름을 떨쳤던 인물이다. 증조부 서현(舒玄)도 진평왕 때 대장군으로 활약하였다.

할아버지 흠춘은 그의 형 유신과 함께 삼국통일 전쟁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한 인물로, 문무왕은 김유신 · 김흠춘 · 김인문 세 사람을 ‘나라의 보배’라고까지 말하였다. 이같이 그의 집안은 무인으로서의 정신을 목숨보다 중히 여기는 가통(家統)을 지니고 있었다. 아버지 반굴은 660년(무열왕 7)에 백제 장군 계백의 군대와 전투할 때, 목숨을 바쳐 충성을 다하라는 자신의 아버지 흠춘의 명을 받고 즉시 적진으로 돌격해 장렬하게 전사함으로써 신라군의 투지를 북돋우고 산화한 인물이다.

그의 당숙(堂叔)이자 김유신의 아들인 원술(元述)이 당나라 군대와의 전투에서 패배하고도 살아 돌아왔을 때, 김유신은 왕에게 “원술이 왕명을 욕되게 했을 뿐만 아니라, 또한 가훈을 저버렸으므로 참형(斬刑)에 처해야겠습니다.”라고 했으나, 문무왕이 “원술은 비장(裨將)인데 혼자에게만 무거운 벌을 내려서는 안 된다.” 하며 용서해 주었다. 그러나 김유신은 원술을 끝내 용서하지 않았고, 원술의 어머니도 김유신이 죽고 나서까지 “원술은 이미 선친에게 아들 노릇을 하지 못했으니 내가 어찌 그의 어머니가 되겠느냐?” 하며 그를 만나 보지도 않았다. 김영윤은 이러한 가통 속에서 자라 명예와 절개를 자부심으로 삼았다고 한다.

684년 그가 전투에 출전할 때 사람들에게 “내가 이번의 출정에서 종족과 붕우들로 하여금 오명을 듣지 않게 하겠다.”라고 말했다 한다. 이 말은 가통에 따른 그의 단호한 결심을 보여 주는 것이며, 또한 가통과 명예를 중시하는 당시 신라 귀족들의 기개를 보여 주는 것이기도 하다. 그가 장렬히 전사하자, 그 소식을 들은 신문왕은 ‘그 아버지에 그 아들’이라며 반굴과 영윤 부자의 의열(義烈)을 칭송했다 한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한국고대사(韓國古代史)에 나타난 충효사상(忠孝思想)」(신형식, 『성신여자사범대학논문집』 11, 1979)
「김유신가문(金庾信家門)의 성립(成立)과 활동(活動)」(신형식, 『이화사학연구』13·14합집, 198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