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항 ()

기해기사계첩 중 김우항 초상
기해기사계첩 중 김우항 초상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이조참판, 대사성, 이조판서, 우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제중(濟仲)
갑봉(甲峰), 좌은(坐隱)
시호
충정(忠靖)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49년(인조 27)
사망 연도
1723년(경종 3)
본관
김해(金海)
주요 관직
정언|수찬|교리|경상도관찰서|이조참판|대사성|이조판서|우의정
관련 사건
갑술옥사|신임사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이조참판, 대사성, 이조판서, 우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제중(濟仲), 호는 갑봉(甲峰) · 좌은(坐隱). 김진선(金盡善)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덕승(金德承)이고, 아버지는 청송부사 김홍경(金洪慶)이며, 어머니는 김광혁(金光爀)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69년(현종 10) 사마시에 합격, 1675년(숙종 1) 유생들과 더불어 자의대비(慈懿大妃) 복상 문제로 송시열(宋時烈)이 유배되자 이의 부당함을 상소하였다. 1681년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승문원정자(承文院正字) · 전적(典籍) · 지평(持平)을 거쳤다.

1686년 정언(正言)이 되어 궁가(宮家)에서 저수지를 만든다는 구실로 민전(民田)을 침해하고 있음을 상소하였다. 그 뒤 예조좌랑 · 병조좌랑을 역임하고, 1689년 홍문록(弘文錄) · 도당록(都堂錄)에 올랐다. 그 해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집권하자 사직했는데, 일찍이 송시열과 함께 유배된 이상(李翔)을 변호한 일로 평안도의 철산(鐵山)에 유배되었다가 곧 풀려났다.

1694년 갑술옥사로 소론이 집권하자, 다시 기용되어 부수찬(副修撰) · 수찬 · 부교리(副校理) · 교리 · 필선(弼善) · 집의(執義) 등을 역임하였다. 이듬해 경상도관찰사가 되고, 1696년 회양부사, 1697년 전라도관찰사 등을 역임하며 진휼 정책(賑恤政策)을 잘해 칭송을 받았다.

1698년 승지에 이어 1699년 대사간, 1702년 개성유수, 이듬해 승문원제조 · 이조참판, 1704년 대사헌 · 대사성 등을 역임하였다. 1706년 예조참판 · 경기도관찰사, 1707년 한성부판윤이 된 뒤 형조 · 병조 · 이조판서를 거쳤다.

1710년 호조판서가 되어 북한구관당상(北漢句管堂上)을 겸하며 산성과 행궁의 축조 책임을 맡았다. 1712년 과옥(科獄)이 일어나자 소론으로서 자기의 당여를 두둔하지 않고 엄정하게 사실을 규명해 소론으로부터 배척을 받기도 하였다.

이듬해 우참찬 · 예조판서 · 판의금부사를 거쳐 우의정이 되었으며, 1716년 내의도제조(內醫都提調) · 판중추부사를 역임하고, 1721년(경종 1) 영중추부사 가 되었다. 1722년 신임사화로 노론의 사대신이 화를 입자 이의 부당함을 적극 주장했으며, 또 김일경(金一鏡)의 사친추존론(私親追尊論)을 반대하다가 화를 입었다.

평생을 청빈하게 살았으며 사람들로부터 장자(長子) 또는 완인(完人)이라 불렸다. 저서로 『갑봉집(甲峰集)』이 있다. 시호는 충정(忠靖)이다.

참고문헌

『숙종실록(肅宗實錄)』
『경종실록(景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매산집(梅山集)』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