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이영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전기 의종의 동생 대령후(大寧侯) 왕경(王暻) 유배사건과 관련된 문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주요 관직
상서
내용 요약

김이영은 고려 전기 대령후 왕경 유배사건과 관련된 문신이다. 인종의 신임을 받은 정항(鄭沆)의 딸과 결혼한 후에 문과 급제하였지만, 시험문제의 오류로 합격이 취소되려 하였는데, 정항과 왕비 등의 간청으로 모면하였다. 의종 즉위 이후 의종의 동생 대령후 유배 사건으로 인해 지방관으로 강등되었다가 1170년(의종 24) 무신정변 후에 복귀되어 상서(尙書)가 되었다.

정의
고려 전기 의종의 동생 대령후(大寧侯) 왕경(王暻) 유배사건과 관련된 문신.
가계 및 인적 사항

김이영(金貽永)의 아버지는 병부상서를 지낸 김선(金璿)이며, 인종의 두 번째 왕비 선평왕후(宣平王后)의 동생이다. 부인은 인종의 신임을 받던 정항(鄭沆)의 셋째 딸이다.

주요 활동

1132년(인종 10) 문과에 급제하였는데, 지공거(知貢擧) 최자성(崔滋盛)이 출제한 시험문제에 오류가 있었다. 이로 인해 과거 시험을 무효로 하자는 건의가 있게 된다. 그러자 김이영의 과거 시험 합격이 취소될 것을 염려한 정항과 한유충(韓惟忠), 그리고 왕비 등은 국왕에게 간청하여 시험 합격을 취소하지 못하게 하였다.

이후 김이영은 내시 호부원외랑(內侍 戶部員外郞), 1152년(의종 6) 지도성사(知都省事)를 거쳐, 1156년(의종 10)에는 주1에 이르렀다. 1157년 의종은 신망을 받던 동생 대령후(大寧侯) 왕경(王暻)을 유배 보냈다. 정서(鄭叙)는 정항의 아들이며, 왕경과 가까웠다는 이유로 거제현으로 유배를 가게 되었다. 이때 김이영은 정서와 인척 관계였기에 지승평군사(知昇平郡事)로 강등되어 지방으로 내려갔다. 이후 1158년(의종 12) 다시 남경유수(南京留守)가 되었지만, 어느 때인가 여기서 쫓겨나게 된 것으로 보인다.

1170년(의종 24) 무신정변이 일어나 명종이 즉위하자, 과거 의종에 의해 내쫓겼던 관료들이 용서를 받게 되었다. 이에 그는 정서 등과 함께 소환되어 관료에게 주는 직전(職田)을 되돌려 받았으며, 이후 주2가 되었다. 그의 딸은 무신정변의 주역인 정중부(鄭仲夫)의 아들 정균(鄭筠)의 꼬임으로 부인이 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정항묘지명(鄭沆墓誌銘)」

논문

장상주, 「고려 의종대 왕제 대령후 사건」(『대구사학』 144, 대구사학회, 2021)
장일규, 「고려 명종 옹립의 정치세력에 대한 제문제」(『대구사학』 103, 대구사학회, 2011)
주석
주1

고려 시대에, 중추원에서 왕명의 출납을 맡아보던 정삼품 벼슬. 현종 14년(1023)에 설치하였으며, 충렬왕 2년(1276)에 우부승지로 고쳤다가 충선왕 2년(1310)에 다시 우부대언으로 고쳤다.    우리말샘

주2

고려 시대에 둔 육부(六部)의 으뜸 벼슬. 성종 14년(995)에 어사(御事)를 고친 것으로 정삼품이며, 뒤에 판서(判書)ㆍ전서(典書)로 고쳤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