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권 4책. 목판본. 편자 미상. 1804년(순조 4)에 김성개(金性漑)가 교정하고, 안방택(安邦宅) 등이 정읍의 충렬사(忠烈祠)에서 간행하였다.
권1에는 상신(相臣) · 문형(文衡) · 호당(湖堂) · 규장(奎章) 등을 실었다. 상신편에는 배극렴(裵克廉) · 조준(趙浚) · 김사형(金士衡) 등 314인의 이름이 있다. 문형편에는 변계량(卞季良) · 정인지(鄭麟趾) · 서거정(徐居正) · 김조순(金祖淳) 등 115인의 관직 및 자와 호가 실려 있다.
호당편에는 박팽년(朴彭年) · 권채(權採) 등 207인의 편찬자의 관직과 이름이 실려 있으며, 그리고 규장각 신편에는 김종수(金鍾秀) · 서호(徐浩) 등 40인의 직위를 표시하였다.
권2에는 공신(功臣) · 청백(淸白) · 기로(耆老) · 남대(南臺) · 품직(品職) · 현관(顯官) · 대관(大官) · 필원(筆苑) · 화가(畫家) 등을 실었다. 공신편에는 이방의(李芳毅) · 조준(趙浚) 등 708인의 관직과 본관 등을 수록하였다.
청백편에는 우현보(禹玄寶) 등 역대 청백리 98인의 관직을, 기사편에는 권희(權僖) 등 기사신 325인의 연령과 관직을 명기하였다. 그 밖에 남대 이하 각 편에도 이에 해당하는 인물들을 수록하였다.
권3에는 유림(儒林) · 문생(門生) · 명신 등이 실려 있다. 유림편에는 신라의 설총(薛聰) · 최치원(崔致遠)과 고려의 최충(崔冲) · 안유(安裕) · 백이정(白頤正) · 이제현(李齊賢) · 이색(李穡), 그리고 조선의 권근(權近) · 김종직(金宗直) 등 선현 82인이 실려 있다.
문생편에는 설총 이하 안유까지는 이름만 써놓고, 그 뒤부터는 문생들의 이름을 연대순으로 기록하였다. 명신편에는 병자피화(丙子被禍) · 사육신 · 생육신 · 무오사화 · 기묘사화 등에 관련된 인물들이 실려 있다.
권4에는 문묘(文廟) · 태묘(太廟) · 원우(院宇) 등을 실었다. 문묘 · 태묘편에는 배향에 관련된 인물들의 명단을 왕대별로 열거하였다. 원우편에는 개성 숭양원(崧陽院) 등 경기도의 41개소, 충청도 67개소, 전라도 122개소, 경상도 272개소, 평안도 34개소, 황해도 20개소, 강원도 18개소, 그리고 함경도 23개소의 서원(書院) · 사우(祠宇)의 명칭과, 건립 연대 및 향사(享祀)하는 제현(諸賢)의 명단이 기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