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권1에는 존호(尊號)에 관한 83편의 옥책문(玉冊文), 권2에는 곤전책봉(坤殿冊封)에 관한 27편의 옥책문, 권3에는 시호(諡號)에 관한 69편의 옥책문, 권4에는 등극(登極)에 관한 18편의 반교문(頒敎文)과 왕비 책봉에 관한 13편의 반교문, 권5에는 저위탄생(儲闈誕生) 반교문 등 39편이, 권6에는 환후평복(患候平復)에 관한 38편의 반교문 등을 수록하였다.
권7에는 여러 경사와 관련된 33편의 반교문, 권8에는 중국의 칙사 영접에 관한 42편의 반교문, 권9에는 존호 · 시호에 관한 34편의 반교문, 권10에는 부묘(祔廟)에 관한 24편의 반교문과 문묘종사(文廟從祀)에 관한 7편의 반교문, 권11에는 토역(討逆) · 사사(賜死) · 삭훈(削勳) 등에 관한 28편의 반교문 등을 싣고 있다.
권12에는 토역 · 삭훈에 관한 12편의 반교문과 위유(慰諭)에 관한 7편의 반교문, 권13에는 59편의 교명문(敎命文), 권14에는 42편의 죽책문(竹冊文), 권15에는 종묘(宗廟)와 영녕전(永寧殿)의 제문(祭文) 49편과 기도제문 24편, 권16에는 각 전궁(殿宮)의 제문 41편, 권17에는 능원묘(陵園墓)의 제문 99편, 권18에는 사직(社稷)의 제문 34편, 그리고 권19에는 교단산천(郊壇山川)의 제문 46편 등을 수록하였다.
권20에는 종묘악장 등 악장(樂章)과 청사(靑祠) 26편, 권21·22에는 「정종대왕애책문(定宗大王哀冊文)」 등 45편의 애책문, 권23·24에는 「명륜당상량문(明倫堂上樑文)」 등 55편의 상량문, 권25·26에는 사제문(賜祭文)과 치제문(致祭文) 196편, 권29∼32에는 사액문(賜額文) 132편 등을 싣고 있다.
권33∼36에는 배향(配享) · 문묘종사 · 공신선유(功臣宣諭)에 관한 144편의 교서(敎書), 권37·38에는 불윤 비답(不允批答) 65편, 권39에는 전(箋) 65편과 표(表) 23편, 마지막으로 권40에는 주문(奏文) 11편, 자문(咨文) 7편, 국서(國書) 4편, 격(檄) 4편, 노포(露布 : 봉함을 하지 않고 노출된 채로 선포하는 포고문) 3편이 수록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