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권 3책. 목판본. 1816년(순조 16) 후손 필제(弼悌)·문건(文健) 등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홍직필(洪直弼)의 서문이 있고, 발문은 없다. 규장각 도서와 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은 시 17수, 잠 5편, 명 1편, 부증시(附贈詩) 3수, 권2는 잡저 6편, 의(義) 2편, 권3은 경사기의(經史記疑) 5편, 권4는 잡도변해(雜圖辨解) 19편, 권5는 서(書) 3편, 권6은 제(題) 1편, 권7은 논 9편, 권8은 부록으로 세계도(世系圖) 1편, 연보 1편, 만사 10수, 정문 1편, 장초(狀草) 1편, 여지승람신증인물문(輿地勝覽新增人物門)·읍지인물문(邑志人物門)·포증분황하시(褒贈焚黃賀詩) 37수, 묘갈명·보인당기(輔仁堂記)·묘우상량문(廟宇上樑文)·봉안축문(奉安祝文)·상향축문(常享祝文)·행장 각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書)의 별지는 모두 역학(易學)에 관한 학설로서, 자신의 깊은 연구에 의하여 얻어진 역설(易說)과 도해를 곁들여 정규양(鄭葵陽)과 논답한 것이다. 「경사기의」는 경전과 사서(史書)를 공부하면서 의난처(疑難處)를 적기(摘記)하고 자신의 견해를 밝힌 논저이다.
논의 「유노석삼교변(儒老釋三敎辨)」은 유·불·선 3교의 기본적인 특징을 제시하면서, 불교와 선교는 천지음양의 이치에 위배되는 것이라고 공박하는 반면, 유학은 천리(天理)와 인정(人情)에 합하는 가장 훌륭한 것이라고 역설하여 유학자로서의 면목을 보여주고 있다.
이밖에도 잡저 등은 대부분이 역리(易理)를 연구한 것으로, 도해를 만들어 설명의 상밀(詳密)을 기하였으므로 역학 공부에 도움 되는 참고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