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원경 ()

고대사
제도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지방행정구역.
이칭
이칭
북원소경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지방행정구역.
개설

신라의 5소경(小京) 가운데 하나로 강원도 원주 지역에 설치되었던 지방통치거점이다.

내용

북원경은 경기도 북부지역과 철원지역을 신라의 영토로 편입시킴과 동시에 옛 고구려지역인 강원도 지역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 보인다. 원주 치악산 서쪽의 시내 지역을 관통하는 섬강과 더불어 원주천 주변의 충적지대에서 다양한 유적이 확인되었지만, 대부분 삼국시대 초기에 해당하고 있어 북원경과 직접 관련짓기는 어렵다.

원주시내에서 북원경의 설치와 관련하여 주목되는 곳은 학성동 유적과 반곡동 고분을 들 수 있다. 학성동 유적에서는 7세기 후반8세기 전반에 해당하는 유물이 출토되었으며, 반곡동 고분은 수혈식 소형석곽묘로서 7세기 후반8세기 전반에 나타나는 양식이어서 주목된다. 원주지역의 통일신라시대 유적은 원주천 서쪽 부근부터 동쪽인 치악산 방면의 구릉지대까지 걸쳐 넓게 분포하는데, 신라 통일기 이전의 유물은 거의 확인되지 않고 있어 원주시내의 통일신라시대의 유적들은 북원경의 설치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법천사지가 위치한 부론면 법천리 일대에서 발견된 고분군은 남한강 유역에 백제계 세력이 존재했음을 보여주며, 섬강 유역의 건등리 유적은 고구려 세력의 이 지역 진출을 말해준다. 따라서 뒤늦게 이 지역을 통치하게 된 신라는 통치에 부담감을 가질 수 밖에 없었을 것으로 보이는데 북원경의 설치가 그것을 반증한다고 할 수 있다. 원주지역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중원경이 설치되었음에도 북원경을 별도로 설치한다는 것 자체가 신라의 지배력이 보다 강하게 투영될 필요가 있었음을 명확히 보여주기 때문이다.

북원경은 기존 백제계 세력을 제어하고 강력한 지방통치력을 실행하기 위해 기존 중심지역과는 다른 곳에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고고학적 조사 결과를 토대로 할 때, 통일신라시대의 건물지와 고분이 발견되는 원주천 유역의 시내지역이 치소(治所)로 유력해 보인다. 북원경의 치소와 관련하여 치악산 주변에 위치하는 영원산성, 금대산성, 금두산성 등 3곳이 고려되는데 확정적인 것이 없는 실정이다. 『삼국사기』에 성의 둘레가 1,031보였다는 기록을 참고하면, 『증보문헌비고』나 『대동지지』에 영원산성의 둘레가 1,031보라 한 기록과 일치하고 있어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변천과 현황

본래 고구려의 평원군(平原郡)이었으며, 나당전쟁이 끝난 후 678년(문무왕 18)에 북원소경을 설치하였다. 683년(신문왕 3) 북원경 성을 쌓았고 757년(경덕왕 16) 지방군현 개편에 따라 북원경이 되었다.

의의와 평가

통일신라의 지방통치조직으로 지방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하고 수도의 편재성을 보완하려고 했던 신라의 집권력 강화의지를 보여준다. 또한 방위명 소경의 본격적 설치 단계를 의미한다. 삼국통일 이전 설치되었던 강릉의 북소경이 왕경인 경주를 중심으로 한 것이었다면, 원주의 북원경은 충주의 중원경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소경 배치라 할 수 있다. 더불어 남한강의 부론면 지역에 있던 원주문화권의 중심이 원주시내 지역으로 이동하는 의미를 지닌다.

참고문헌

『신라 육상교통로 연구』(서영일, 학연문화사, 1999)
『신라정치제도사연구』(이인철, 일지사, 1993)
「신라 9주5소경의 도시구조 연구」(황인호, 『중앙고고연구』 15, 2014)
「통일신라시대 북원소경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이재환, 『한국상고사학보』 75, 2012)
「신라 소경의 설치와 그 기능」(전덕재, 『진단학보』 93, 2002)
「한국 고대의 지방도시: 신라 5소경을 중심으로」(여호규, 『강좌 한국고대사』 제7권, 2002)
「통일신라시대의 지방도시에 대한 연구」(박태우, 『백제연구』 18, 1987)
「신라소경고」(임병태, 『역사학보』 35·36, 1967)
「新羅九州五京攷」(藤田亮策, 『朝鮮學報』 5, 195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