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안도(飛雁島)는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옥도면 비안도리로, 2호 새만금 방조제(가력도~신시도 구간) 서쪽 5km 지점에 위치하며, 방조제와는 연결되지 않았다. 비안도 부근에는 두리도, 치두도, 덕산도, 약도 등이 있으며, 동쪽에는 새만금 방조제, 남쪽에는 사랑도, 석도 그리고 부안군의 하섬이 있으며, 남서쪽에는 약 20km 지점에 위도가 있고, 북쪽에는 신시도, 선유도, 무녀도 등 고군산군도가 위치한다. 경위도상의 위치는 주1 126° 32′, 주2 34° 46′이다. 면적은 1.63㎢이고, 해안선 길이는 6.6㎞이다.
지질은 주3 주4에 속하는 화산성퇴적암류(火山性堆積巖類)로 변산반도 서쪽 해안과 같은 단사구조(單斜構造)이다. 비안도의 북쪽에는 노비봉(老妃峰, 191m)이 있으며, 남쪽에는 남봉산(160m)이 있다. 마을은 간석지가 발달한 동쪽 해안변에 위치한다. 서쪽 해안에는 파도의 퇴적 주5으로 주6을 이룬 파적대가 형성되어 있는데, 해안에 가까이 좁게 발달한 파적대는 멸치 등의 건조장과 논으로 이용된다. 1월 평균 기온은 -0.1℃, 8월 평균 기온은 25.0℃, 연강수량은 1,028㎜이다.
비안도라는 이름은 섬의 모양이 날아가는 기러기처럼 생긴 데에서 유래했다. 비안도는 고려시대에는 주7로 이용되었으며, 조선 중기부터는 어업을 생업으로 하는 집단 주8이 형성되었다. 주민들의 생업은 농업보다 어업이 중심을 이룬다. 주요 농산물로는 쌀, 보리, 고구마 등이 있고, 주요 수산물로는 멸치, 오징어, 전복, 해삼 등이 있다.
본래 전라남도 지도군 고군산면 소속이었으나, 1914년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옥구군에 편입되었다. 1995년에 옥구군과 군산시가 통합되면서 군산시 옥도면 비안도리가 되었다. 과거에는 군산선유도비안도를 잇는 여객선이 운영되었으나, 현재는 운항이 중지되었다. 주민들은 가력도까지 배로 이동하고, 가력도에서 버스를 이용하고 있다. 비안도에는 저수지, 발전소, 전망대(2006년), 비안도항, 비안도 해양경찰 출장소, 보건 진료소, 비안도 초등학교(1942년~2021년) 등이 있다.
2002년에는 비안도 북동 방향 1km 해역에서 3,100여 점의 고려청자를 발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