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시도는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옥도면 신시도리에 있었던 섬이다. 신시도는 고군산군도 24개 섬 중 가장 큰 섬이었으나, 2010년 이후 새만금 방조제(1991년~2010년)에 의해서 육지와 연결되었다. 신시도의 북쪽에는 야미도와 비응도, 남쪽에는 비안도, 동쪽은 새만금 내부, 서쪽에는 무녀도, 선유도, 대장도, 관리도가 있다. 2010년 새만금 방조제가 완성되면서 북쪽의 비응도 및 야미도 그리고 남쪽으로는 가력도 및 부안군 변산면과 연결되었다. 비응도까지는 14km이며, 새만금 방조제의 부안쪽 방향에는 신시배수갑문이 있다.
신시도는 동경 128° 34′, 북위 35° 47′에 위치하며, 고군산군도 24개 섬 중 가장 큰 섬이었으나, 2010년 이후 새만금 방조제(1991년~2010년)에 의해서 육지와 연결되었다. 신시도의 북쪽에는 야미도와 비응도, 남쪽에는 비안도, 동쪽은 새만금 내부, 서쪽에는 무녀도, 선유도, 대장도, 관리도가 있다. 2010년 새만금 방조제가 완성되면서 북쪽의 비응도 및 야미도 그리고 남쪽으로는 가력도 및 부안군 변산면과 연결되었다. 비응도까지는 14km이며, 새만금 방조제의 부안쪽 방향에는 신시배수갑문이 있다.
행정구역으로는 군산시 옥도면 신시도리이다. 면적은 4.25㎢이고, 해안선 길이는 16.5㎞이었다. 섬에는 월영산(198m), 대각산(187m), 앞산(122m), 노적봉 등이 있는데, 월영산은 고군산군도에서 가장 높은 산이며, 대각산에는 2004년에 세운 전망대가 있다. 신시도는 원래 심리(深里) 또는 신치(新峙)로 불리우다가, 일제강점기 때 신시도로 개칭했다.
지질은 주1 말 산성화강암류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부분 200m 이하의 구릉성 산지를 이룬다. 남서쪽 해안에는 간석지가 발달해 있으며, 이곳에는 소규모의 간척이 이루어져 농경지로 조성된 곳도 있다. 1월 평균기온은 -0.1℃, 8월 평균기온은 25.0℃, 연강수량은 1,028㎜이다.
신시도 주2에는 멸치, 바지락, 주꾸미 등이 어획되며, 김 양식업이 활발하다. 어항과 해수욕장은 북쪽에 위치하고, 남쪽에는 갯벌이 발달해 있다. 그리고 남서쪽 해안에는 소규모의 염전도 있다. 신시도의 동쪽에는 새만금 방조제(국도 77호선)와 신시배수갑문, 신시광장, 국도 77호선에서 대장도까지 이어지는 국도 4호선의 교차점인 신시1 사거리, 신시도항, 새만금 파출소, 휴게소 등이 있다. 서쪽으로 대장도까지 이어지는 4번 국도는 섬 북쪽의 월영산과 대각산 사이로 연결되며, 마을은 서쪽에 위치한다. 마을에는 신시도초등학교, 보건 주4, 신시도 어촌체험마을, 고운 최치원 신당터 등이 있다. 그리고 대각산 북서쪽에는 국립 신시도 자연 휴양림이 있다. 4번 국도는 서쪽의 고군산대교를 통하여 무녀도 및 선유도와 연결된다. 신시도는 신라시대의 고운 최치원과 근세의 유학자였던 간재 전우 선생이 거주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