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전문집 ()

유교
문헌
조선 후기, 학자 이최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3년에 간행한 시문집.
문헌/고서
편찬 시기
1963년
간행 시기
1963년
저자
이최선(李最善)
권책수
4권 2책
판본
신연활자본
표제
석전집(石田集)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미국 UC버클리대학교,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조선 후기 학자 이최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3년에 간행한 시문집이다. 1963년에 저자의 증손자 이혁(李焃)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권재규(權載奎)가 쓴 서문이 있으며 권말에는 이건창(李建昌)과 정기(鄭琦)가 쓴 발문이 있다. 시(詩) 123수를 비롯해 책(策)·서(書)·논(論)·서(序) 등이 문체별로 수록되어 있다.

키워드
정의
조선 후기, 학자 이최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3년에 간행한 시문집.
저자 및 편자

이최선의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낙유(樂裕), 호는 석전경인(石田耕人)이다.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 1798~1876)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874년(고종 11) 증광시 문과에 응시하였으나 과거(科擧)의 폐단을 보고 출사(出仕)를 단념하였다. 기정진의 주리설(主理說)을 계승하여 척사위정(斥邪爲政)의 정신에 투철하였으며, 조선왕조의 정통성을 옹호하고 외세를 철저하게 배격하였다.

서지사항

『석전집』은 4권 2책의 신연활자본으로, 국립중앙도서관 · 미국 UC버클리대학교 ·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편찬 및 간행경위

저자의 사후에 문집 간행을 위해 아들 이승학(李承鶴)이 유고를 수습하여 이건창(李建昌, 1852~1898)에게 교정과 발문을 부탁하였으나 간행되지 못하였다. 이후 1930년대 초에 저자의 손자 이광수(李光秀)가 간행을 위해 4권 2책으로 편찬하였으나 1963년에 이르러서야 증손자 이혁(李焃)에 의해 간행되었다.

구성과 내용

권두에 권재규(權載奎)가 쓴 서문이 있으며 권말에는 이건창과 정기(鄭琦)가 쓴 발문이 있다.

권1에는 시 123수, 권2에는 책(策) 1편, 서(書) 13편, 논(論) 1편, 서(序) 3편, 발(跋) 1편, 권3에는 격(檄) 2편, 제문(祭文) 8편, 천표(阡表) 1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4는 부록으로 서(序) 3편, 수묵(水墨) 1편, 만사(輓詞) 11수, 제문 11편, 행장(行狀) · 묘갈명 · 서장갈후(書狀碣後) · 묘지명 · 묘표 · 전(傳) · 시 · 발 각 1편, 통문(通文) 3편, 고유문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대부분 조성가(趙性家, 18241904) 등과 주고 받은 수창시(酬唱詩)로, 저자의 교유 관계를 추정할 수 있다. 이밖에 기정진과 최익현(崔益鉉, 18331906)에게 준 시가 있으며, 가혹한 정치에 시달리는 시골 노파의 고달픔을 노래한 「청촌파(聽村婆)」와 「위촌파(慰村婆)」 등의 작품이 있다.

「삼정책(三政策)」은 1862년(철종 13) 진주농민항쟁이 끝난 이후에 철종이 삼정의 폐단을 바로잡기 위해 내린 책문(策問)에 대한 대책(對策)이다. 당시 관리들과 삼정으로 인한 향촌 사회의 폐해을 비판하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어진 관리를 선발하고 언로(言路)를 개방하며 성리학을 장려해야함을 제시하였다.

「통고인읍제종문(通告隣邑諸宗文)」과 「격본도오십삼주제종문(檄本道五十三州諸宗文)」 등 2편의 격문은 모두 친척들에게 보낸 글이다. 서양의 침공은 국가 존망이 달린 중대사이므로 종인(宗人)들이 뜻을 모으고 힘을 합쳐 나라의 위기를 극복하고 서양 세력을 물리칠 것을 촉구하였다.

서(書)에는 기정진 · 최익현 · 기우만(奇宇萬) · 이건창과 주고받은 서간문이 수록되어 있으며, 대부분 시사(時事)와 예절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기우만에게 답한 별지는 주1에 관한 내용이며, 기정진에게 보낸 「상례차의(喪禮箚疑)」는 상례(喪禮)에 관한 내용이다.

서(序)의 「동의계안서(同義契案序)」는 1866년(고종 3) 프랑스인이 강화도를 침범했을 때 여러 고을에 통문을 보내 의병을 모집하고 계(契)를 조직하면서 쓴 글이다.

부록에는 이희석(李煕奭) 외 10명이 지은 만사와 조성가 외 10명이 지은 제문을 비롯해 저자의 사후 7년만에 기우만이 이승학의 부탁을 받고 쓴 행장, 이건창이 쓴 묘갈명, 정재규(鄭載圭, 18431911)의 문인 이교우(李敎宇, 18811950)의 「서장갈후(書狀碣後)」, 조성가의 묘지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의의 및 평가

『석전집』에 수록된 「삼정책」은 조선후기 현실에 대한 저자의 개혁 의식을 살필 수 있는 자료로, 조선 후기의 국내 정세를 살피는 데에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경국 외 역주, 『(이최선)석전집 역주』 (호남고문헌연구원, 2016)

논문

유성한, 「石田 李最善 硏究」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주석
주1

대상(大祥)을 치른 다음다음 달 하순의 정일(丁日)이나 해일(亥日)에 지내는 제사. 초상(初喪)으로부터 27개월 만에 지내나, 아버지가 생존한 모상(母喪)이나 처상(妻喪)일 때에는 초상으로부터 15개월 만에 지낸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