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 ()

자연지리
지명
전라남도 신안군 하의면 능산리에 있는 섬.
이칭
이칭
섶섬, 신도(新島)
지명/자연지명
면적
1.68㎢
높이
176.2m
둘레
14㎞
소재지
전라남도 신안군 하의면 능산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신도는 전라남도 신안군 하의면 능산리에 있는 섬이다. 동경 125°59′, 북위 34°35′에 위치하며, 목포에서 남서쪽으로 43㎞,하의도에서 서쪽으로 3㎞ 지점에 있다. 면적은 1.68㎢이다. 비교적 기복이 큰 산지로 이루어져 취락은 동남쪽의 만에 집중해 있다. 남서쪽 해안에 형성된 신도해수욕장이 유명하다. 섬의 1시 방향에 형성된 만에는 신도항이 입지 하고 있다.

정의
전라남도 신안군 하의면 능산리에 있는 섬.
명칭 유래

섬 전체에 섶(땔감나무)이 많이 있어 ‘섶섬’으로 불렸다. 지금은 섶 ‘신(薪)’자를 써서 신도라고 한다. 이 밖에도 새로운 섬이라하여 ‘신도(新島)’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설도 있다.

자연환경

동경 125°59′, 북위 34°35′에 위치한다. 목포에서 남서쪽으로 43㎞, 하의도에서 서쪽으로 3㎞ 지점에 있다. 면적은 1.68㎢이고, 해안선 길이는 14㎞이다.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주변 무인도서는 섬 서쪽의 항도와 동쪽의 거도가 위치해 있다.

지질은 대부분 주1 주2 및 유문암질 주3으로 이루어져 있다.

십(十)자 모양의 섬으로 안태산(安泰山, 176.2m)을 비롯하여 기복이 큰 산지가 분포하고 있다. 해안은 돌출과 주4이 커서 주5을 이루는 곳은 암석 주6으로 주7가 발달해 있다. 이 형성된 곳에는 사빈 해안이 발달하였는데, 남서쪽 해안에 형성된 신도해수욕장이 유명하다. 섬의 1시 방향에 형성된 만에는 신도항이 있다.

1월 평균 기온은 2.0℃, 8월 평균 기온은 26℃, 연강수량은 1,004㎜이다.

변천 및 현황

1760년(영조 36)에 경주 이씨가 우연히 들렀다가 경치가 좋고 수산 자원이 풍부하여 정착하였다고 한다. 본래 지도군 하의면 소속이었다가 1914년에 무안군으로 편입되었고, 1969년에 신안군이 무안군에서 나뉘어지면서 신안군 하의면 능산리에 속하게 되었다.

2021년 기준으로 인구는 47명(남 27명, 여 20명)이고, 세대수는 37세대이다. 취락은 대부분 섬의 북쪽 주9에 집중해 있다. 토지 이용 현황은 논은 없고 밭 0.13㎢, 임야 1.30㎢이다. 대부분의 주민들은 농업과 어업을 겸하고 있다. 농산물은 보리 · 고구마 · · 마늘 · 참깨 등이다. 주8에서 도미 · 농어 · 우럭 · 꽃게 등이 어획되고, 바위에서 자란 돌미역이 많다.

교통은 하의면 웅곡선착장에서 장병도 · 문병도 · 대야도 등을 경유하여 신도까지 정기 여객선이 운항된다. 하의초등학교 신도분교장은 1998년 9월에 폐교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도서지』 (내무부, 1985)
『신안통계연보』 (신안군, 2022)
『한국도서백서』 (전라남도, 1996)
『한국지명유래집』 전라·제주편 (국토지리정보원, 2010)

인터넷 자료

신안군청(www.shinan.go.kr)
신도(345084) 지형도(국토지리정보원, 2021)
한국지질자원연구원(https://www.kigam.re.kr/)
주석
주1

지질 시대의 구분에서 고생대와 신생대 사이의 시기. 지금부터 약 2억 4500만 년 전부터 약 6,500만 년 전까지이다. 겉씨식물이 번성하였고, 공룡과 같은 거대한 파충류를 비롯하여 양서류ㆍ암모나이트 따위가 번성하였다. 트라이아스기, 쥐라기, 백악기로 다시 나뉜다. 우리말샘

주2

정장석, 석영, 운모 따위의 결정(結晶)으로 이루어진 화성암. 규산이 많이 든 광석으로, 흰색을 띠며 물결무늬가 있다. 도자기나 건축 재료로 쓴다. 우리말샘

주3

화산이 분출할 때 나온 화산재 따위의 물질이 굳어져 만들어진 암석. 우리말샘

주4

강이나 바다의 물이 활등처럼 뭍으로 휘어듦. 우리말샘

주5

바다 쪽으로, 부리 모양으로 뾰족하게 뻗은 육지. 우리말샘

주6

노출된 바위가 암벽을 이루고 있는 해안. 우리말샘

주7

해안 침식과 풍화 작용에 의하여 해안에 생긴 낭떠러지. 우리말샘

주8

거리로 따졌을 때, 육지에 가까이 있는 바다. 우리말샘

주9

강이나 바다의 물이 활등처럼 뭍으로 휘어드는 부분.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