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야도 ()

자연지리
지명
전라남도 신안군 하의면 능산리 2구에 있는 섬.
이칭
이칭
대서도, 대하도
지명/자연지명
면적
4.26㎢
둘레
12.3㎞
소재지
전라남도 신안군 하의면 능산리 2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대야도는 전라남도 신안군 하의면 능산리 2구에 있는 섬이다. 신안군 하의도 능산리 2구에 속한 섬으로 산지가 높고 경사가 가파른 암석산지로 포켓비치가 깨끗하다. 반면 농토가 거의 없어 어업에 주로 종사한다. 특히 톳이 유명하다. 암석해안과 풍부한 식생으로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에 속하고, 해송(海松)과 각종 난초가 자생하며, 모래밭과 송림이 좋은 천혜의 해수욕장이 형성되어 있다. 주로 하의도와 인근 능산도, 도초도와 선편을 이용한다.

정의
전라남도 신안군 하의면 능산리 2구에 있는 섬.
자연환경

동경 126°58′, 북위 34°38′에 위치한다. 목포에서 서남쪽으로 64㎞, 하의도(荷衣島)에서 서북쪽으로 3.4㎞ 지점에 있고, 남동쪽으로 능산도와 마주하고 북으로 도초도와 마주한다. 부속섬으로 무인도인 신의도가 있다.

배후산의 기반암은 산성화산암류로 암회색을 띠며 풍화에 강해 주1가 높고 경사가 가파르지만 식생이 풍부하고 지하수도 풍부하다. 주2은 북동-남서 방향으로 높이 250m-300m의 산열이 있으며, 북서-남동 방향으로 산열과 높이 190m의 봉우리가 있다. 그 산열 사이에 주3의 통과로 주4 되어 낮은 골짜기로 되어 있지만, 두 산봉우리를 잇는 탐방로가 있다. 이 골짜기의 북동쪽에는 낮은 주5주6이 펼쳐져 마을과 선착장이 있고, 그 너머 남서쪽은 작은 포켓비치형의 해수욕장이 나타난다. 반면 대부분의 해안은 주7으로 주8주9가 나타난다.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해송(海松)과 각종 난초가 자생하며, 모래밭과 송림이 좋은 천혜의 해수욕장이 형성되어 있다. 1월 평균기온은 2℃, 8월 평균기온은 26℃, 연강수량은 1,024㎜이다.

변천과 현황

대야도는 하의면 능산리 2구로 1670년경 경주 정씨가 처음 입주했다고 한다. 대야도의 면적은 4.26㎢이며 이 중 논과 밭은 각각 044㎢, 0.01㎢이다. 해안선 연장은 12.3㎞이다. 가구수는 25호이며, 인구는 45명(남 28명, 여17명)으로 남초 현상을 보인다. 1개의 행정리와 자연마을 1곳을 가진 하의면의 주10이다.

대야도 선착장에서 하의면 웅곡리 하의여객선 터미널까지 7.19㎞로 하루 2차례 왕래하고 하의도 당두항과 도초도 시목에선 하루 4회 운항이 있다. 공공기관과 교육 시설은 없다. 전기가 인입되어 있고 동력어선 5척이며, 화물차는 각각 1대이다. 서비스 시설로는 일반음식점과 민박집이 1곳씩 있다. 어촌정주항 1곳과 주11과 선착장은 1곳이다.

대체로 돌김, 돌미역, 등과 꽃게, 고등어, 조기, 갈치가 주산물로 어업이 주이다. 종교 시설로는 교회가 1곳, 성당공소 1곳이 있다. 경로당 1개소가 있다.

최근 마을을 가로지르며 흐르는 도랑과 마을 입구 18,000㎡ 넓이의 습지는 인간과 야생동물 모두에게 풍요로움과 휴식을 제공하는 천혜의 공간으로 마을 주민공동체가 친환경 세제 쓰기로 갯벌 보호에 동참하고 있다. 대야도의 선편은 주변의 능산도와 신도 간에 연결되고, 도초도 시목항에서 하루 4편과 하의도 웅곡항에서 출발하는 주12 4편이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도서현황』(전라남도, 1988)
『한국도서백서』(전라남도, 1996)
『한국지명유래집』전라·제주편(국토지리정보원, 2010)
『신안통계연보』(신안군, 2022)
『전라남도유인도정보』(전라남도, 2022)

인터넷 자료

신안군청(www.shinan.go.kr)

기타 자료

「신안군 작은 섬 대야도 주민 공동체,...」(호남타임즈, 2022.11.14.)
주석
주1

평균 해수면을 기준으로 하여 잰 어떤 지점의 높이. 우리말샘

주2

조산대를 가로지르거나 구분할 수 있을 정도로 규모가 큰 단층선. 우리말샘

주3

단층면이 지표면과 만나는 선. 우리말샘

주4

지역에 따라 지표면의 단단한 정도가 달라서 서로 다르게 침식하는 일. 우리말샘

주5

땅이 비탈지고 조금 높은 곳. 우리말샘

주6

침식 및 삭박 작용에 의하여 기복이 거의 없이 평탄화된 지표면. 우리말샘

주7

노출된 바위가 암벽을 이루고 있는 해안. 우리말샘

주8

해안 침식과 풍화 작용에 의하여 해안에 생긴 낭떠러지. 우리말샘

주9

해식붕이 융기하여 이루어진 바닷가의 평탄한 지형. 우리말샘

주10

사람들이 거주하는 섬. 우리말샘

주11

나룻배가 닿고 떠나는 일정한 곳. 우리말샘

주12

여객과 차량을 함께 수송할 수 있는 배.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