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성쌍의록 ()

목차
관련 정보
용성쌍의록
용성쌍의록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후기 무신 · 의병장 정봉수와 정기수 형제의 행적을 모아 1794년에 간행한 전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무신 · 의병장 정봉수와 정기수 형제의 행적을 모아 1794년에 간행한 전기.
내용

4권 2책. 활자본.

평안도 용천(龍川)의 용골산성에서 청나라의 침략에 맞서 싸운 의병정봉수 · 정기수 형제의 행적과 그것에 관계된 기록을 모은 책이다. 정조 초년에 후손들이 정봉수 형제의 사적을 엮어 간행한 바 있으나, 범례, 활자에 미진한 점이 많았다.

이에 문중에서 정성학(鄭聖鶴) · 정재묵(鄭載默)에게 관계 기록을 수집하고 정리해 새로 편찬하게 하였다. 그 뒤 1794년(정조 18) 정성학이 편차(編次)하고 정재묵이 교정한 형식으로 교서관에서 간행하였다.

후손들이 자신들의 가문을 높인다는 의식에서 편찬한 것이지만, 『이충무공전서(李忠武公全書)』 · 『김충장공 유사(金忠壯公 遺事)』 · 『임충민공실기(林忠愍公實紀)』 등 외적의 침략을 막아낸 역대 장신(將臣)들의 사적을 적극적으로 편찬하던 정조의 정책에 힘입어 간행된 듯하다.

크게 서(序) · 목록 · 본문 · 부록 · 발(跋)로 구성되어 있다. 서문은 박종악(朴宗岳) · 구상(具庠) · 이득신(李得臣) · 윤행임(尹行恁) · 남공철(南公轍)이 붙였다. 권1의 첫머리에 정봉수와 정기수의 연보가 실려 있다. 이어 <용골창의록 龍骨倡義錄>이라 하여 창의행적을 자세히 수록했는데 이 부분이 이 책의 중심 내용을 이룬다.

권2에는 그들을 기리는 역대 국왕의 윤음과 1627년(인조 5) 명나라에서 그들을 봉작한 데 따른 기록, 창의에 참가한 정봉수 이하의 인물들의 직책과 인적 사항을 수록한 <창의장사록 倡義將士錄>을 수록하였다.

권3에는 정봉수 형제에 대한 행장 · 시장(諡狀) · 신도비명 · 묘갈명 등을 수록하였다. 권4에는 역시 그들에 대한 사제문 · 치제문(致祭文) · 축문 · 일반 제문들과, 시호를 청했던 상소문 및 그것에 대한 예조관문(關文)을 모았다.

그리고 <제고 諸稿>라 하여 여러 인물들이 그들 형제를 읊은 시 37수와 찬(讚) 1편을 수록하였다. 부록은 먼저 정원방(鄭元邦)이 엮은 <삼영록 三英錄>을 수록하였다. 이것은 정봉수의 조카인 정경운(鄭景雲) · 정경문(鄭景雯) · 정경방(鄭景霶)의 사적을 정리한 것이다.

여기에는 심준(沈埈)의 발문이 붙어 있다. 그 뒤에 정봉수의 후손 아홉 사람에 대한 사적 · 행장 · 묘갈명 · 신도비명 · 묘표 등을 수록하였다.

말미에는 후손들의 간행사와 이긍익(李肯翊) · 홍양호(洪良浩) · 박종갑(朴宗甲)의 발문이 있다. 조선 후기 관서 지방 인물들의 정치적 동향을 이해하는 데도 참고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