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 ()

목차
관련 정보
현대문학
문헌
행문사에서 유치환의 시 「동백 꽃」 · 「구름」 · 「울릉도」등을 수록하여 1948년에 간행한 시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행문사에서 유치환의 시 「동백 꽃」 · 「구름」 · 「울릉도」등을 수록하여 1948년에 간행한 시집.
개설

A5판. 96면. 작자의 제3시집으로 1948년 행문사(行文社)에서 간행하였다. 제자 배길기(裵吉基), 장정은 박성규(朴性圭)가 하였다. 권두에 짤막한 서문이 있다.

“여기에 수록한 것은 시집 『청령일기(蜻蛉日記)』와 아울러 1945년부터 1948년 8월 15일까지의 만 3년 동안 일제의 질곡(桎梏)에서 벗어난 조국이 다시 암담한 혼돈에서 진통하던 그 가운데서 할일없이 만지적거린 나의 죄스러운 작품들이다. 청마(靑馬)”

내용

이 시집은 모두 5부로 나뉘어져 있다. 1부에는 「동백(冬栢) 꽃」·「구름」·「괴자(槐子)꽃」·「공산(空山)」·「무야(霧夜)」·「선창에서」·「새」·「너에게」·「작약꽃 이을 무렵」·「춘수(春愁)」, 「산전(山巓)인양」, 2부에는 「경칩가까와 오다」·「산엣 봄」·「일행시(一行詩)」·「하나 호롱」·「대구(大邱)에서」·「산사(山寺)」·「히말라야 이르기를」·「거제도(巨濟島) 둔덕(屯德)골」 등이 실려 있다.

3부에는 「가난하여」·「어린피오닐」·「연만가(連巒歌)」·「고대용시도(古代龍市圖)」·「호화스런 권속(眷屬)들」, 4부에는 「진실(眞實)」·「한개 능금」·「어리석어」·「울릉도(鬱陵島)」·「식목제」·「오상보성외(五常堡城外)」, 5부에는 「1947년 7월 조선에 한달 비내리다」·「눈초리를 찢고 보리라」·「조국(祖國)이여 당신은 진정 고아(孤兒)일다」·「서울에 부치노라」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들 작품은 8·15를 맞고 나서 쓴 작품들을 수록한 것이다. 그리하여 일제치하에서 쓰인 작품들을 묶은 『유치환시초』나 『생명(生命)의 서(書)』와는 다른 성향을 드러낸다. 우선 「진실」·「눈초리를 찢고 보리라」·「조국이여 당신은 진정 고아일다」 등과 같이 시대, 현실에 대한 날카로운 고발, 비판을 담은 작품이 있다. 또한 「울릉도」·「식목제」 등에는 8·15 이전 유치환의 시가 갖지 못한 정신세계도 나타난다.

8·15 이전 유치환의 시는 대체로 생을 허무한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그런 운명에 도전하는 의지를 노래한 것이 주조를 이루었다. 그러나 이 시집에 담긴 몇 개의 작품은 그와 다르다. 그들 작품에서 유치환은 우리나라 겨레의 앞날이 푸르기를 바라는 염원을 담았다. 그리고 그런 염원을 듬직한 목소리로 읊조렸다.

참고문헌

『구름에 그린다』(신흥출판사, 1959)
「절대의지의 미학 -유치환론-」(김용직, 『한국현대시사 2』, 한국문연, 1996)
「생명파(生命派)와 그 시세계」(오세영, 『20세기 한국시연구』, 새문사, 1989)
「청마(靑馬) 유치환론(柳致環論)」(김종길, 『시에 대하여』, 민음사, 1986)
「유치환론(柳致環論)」(김윤식, 『현대어학』, 1970.9·10)
「청마(靑馬) 유치환론(柳致環論)」(문덕수, 『현대문학』, 1957.11·12, 1958.1·2·3·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