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설춘향전 ()

현대문학
작품
1920년대, 이광수(李光洙)가 「춘향전」을 현대소설로 개작한 장편소설.
작품/문학
발표 연도
1925년
간행 연도
1929년
작가
이광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일설춘향전』은 이광수(李光洙)가 「춘향전」을 현대소설로 개작한 장편소설이다. 『동아일보』의 현상모집에 당선되어, 1925년 9월 30일부터 1926년 1월 3일까지 『동아일보』에 연재되었다. 1929년 한성도서주식회사에서 ‘일설춘향전’이란 제명으로 단행본으로 출판되었다. 이 작품은 「춘향전」이 통속문학에서 국민문학이자 고전으로 변모되는 상황 속에서, 이광수가 「춘향전」을 현대소설로 개작한 시도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키워드
정의
1920년대, 이광수(李光洙)가 「춘향전」을 현대소설로 개작한 장편소설.
구성 및 형식

『일설춘향전』은 이광수「춘향전」을 현대소설로 개작한 장편소설이다. 『동아일보』의 현상모집에 당선되어, 1925년 9월 30일부터 1926년 1월 3일까지 『동아일보』에 연재되었다. 1929년 한성도서주식회사에서 단행본으로 출판하면서 제목을 ‘일설춘향전’이라 하였다.

내용

『일설춘향전』은 「춘향전」의 기본 줄거리를 유지하면서 연분 · 사랑 · 이별 · 상사 · 수절 · 어사 · 출또의 일곱 회장으로 구분하였다. 전반부는 신소설 시대의 대표 「춘향전」인 「옥중화(獄中花)」최남선이 편찬한 「고본춘향전」을 대본으로 하여 많이 개작하였다. 후반부는 「고본춘향전」의 사설을 그대로 수용한 부분이 많다.

선행한 이본들과의 차이는 문체에서 가장 뚜렷하게 드러나고 있다. 이전의 「춘향전」은 중국 고사를 비롯한 문어체의 명구 인용이 많은 데 비하여, 여기에서는 구어체가 중심이 된 현대소설의 일반적 문체로 표현되고 있다.

상투적인 「춘향전」의 서사(序詞)를 벗어나서, “‘여봐라 방자야!’하고, 책상 위에 펴놓은 책도 보는 듯 마는 듯 우두커니 무엇을 생각하고 앉았던 몽룡은 소리를 쳤다.”로 시작된다. 또, 판소리의 영향으로 주1 형태를 보이던 시가들을 시조의 형식으로 바꾸어 주체적 의식을 강화함이 특징으로 평가된다.

즉, 주2의 만남 대목에서 몽룡의 편지는 “어지어 내일이여 인연도 기이할사. 언뜻 뵈온 님이 그님일시 분명하이, 광한루 보던 벗이 찾아온다 일러라.”와 같이 민요 · 한시 · 잡가 등 여러 시가 양식을 삽입가요로 택하던 선행 「춘향전」의 시가 부분과 편지, 옥중의 탄가(歎歌) 등을 시조로 대체하였다.

또한 장면 중심의 서술로 된 선행 작품이 다루지 못하였던 각 인물의 행동을 보다 합리적이고 사실성 있게 묘사하고 있다. 그 예로, 방자의 서술에서 방자는 주3로 태어나고 이미 처가 있는 몸이라는 구체적 서술이 되고 있으며, 또 월매는 기생의 보편성에 의한 철저한 현실주의가 강화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일설춘향전』에서 작가는 전통적 「춘향전」을 완전히 탈피한 독특한 춘향으로 재창조하려 하였지만, 전반부의 각 인물의 개성화에 비하여 후반부는 단순한 답습에 그치고 있다.

이 작품을 「옥중화」와 「고본춘향전」과 비교해 보면, 개작 의도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은 전반부이며 후반부로 갈수록 「고본춘향전」의 사설을 그대로 수용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은 1920년대 「춘향전」의 위상이 주4에서 국민문학이자 고전으로 변모되는 상황 속에서, 이광수가 「춘향전」을 주5로 개작한 시도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참고문헌

원전

이광수, 「춘향」 (『동아일보』, 1925~1926)
이광수, 『일설춘향전』 (한성도서주식회사, 1929)

논문

이지영, 「이광수의 「일설춘향전」에 대한 재고」 (『한국현대문학연구』 49, 한국현대문학회, 2016)
홍혜원, 「"춘향" 이야기 겹쳐 읽기-이광수의 『일설 춘향전』 연구-」 (『비교한국학』 21-3, 국제비교한국학회, 2013)
주석
주1

소설이나 판소리 따위의 중간에 끼어 있는 시가(詩歌). 우리말샘

주2

전라북도 남원시 천거동에 있는 누각. 조선 태조 때 황희가 세웠으며 인조 16년(1638)에 재건하였다. <춘향전>의 배경으로 유명해졌으며 경내에 춘향의 사당이 있다. 보물 정식 명칭은 ‘남원 광한루’이다. 우리말샘

주3

태어나기 전에 아버지를 여읜 자식. 우리말샘

주4

문학적 교양이 비교적 낮은 독자를 대상으로 하여 흥미에 중점을 둔 내용으로 평이하게 쓴 문학. 우리말샘

주5

갑오개혁 이후에 지어진 소설을 통틀어 이르는 말. 개성적이고 입체적인 인물들이 등장하며, 현실적이고 필연적인 이야기 구성 및 사실적인 묘사를 특징으로 한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