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산 장안사 ( )

목차
관련 정보
장안사도 / 김윤겸
장안사도 / 김윤겸
불교
유적
북한 강원도 회양군 금강산(金剛山) 장경봉(長慶峯)에 있었던 삼국시대 고구려의 승려 혜령이 창건한 사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장안사는 북한 강원도 회양군 금강산 장경봉에 있었던 삼국시대 고구려의 승려 혜령이 창건한 사찰이다. 신라 법흥왕 때 창건되었다는 설과, 551년(양원왕 7) 고구려의 승려 혜량이 신라에 귀화하면서 왕명으로 창건하였다는 설이 있다. 이 절은 입구에서부터 일주문, 운성문, 만천교라는 징검다리가 있다. 다리를 건너면 숲 사이로 만수정이 있고, 그 안에 ‘금강산장안사’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1945년 이전까지 6전, 7각, 1문을 가졌다. 부속 암자로 장경암, 안양암, 지장암, 영원암 등을 가진 금강산 4대 사찰 중의 하나이다.

목차
정의
북한 강원도 회양군 금강산(金剛山) 장경봉(長慶峯)에 있었던 삼국시대 고구려의 승려 혜령이 창건한 사찰.
내용

신라 법흥왕 때 창건되었다는 설과, 551년(양원왕 7) 고구려의 승려 혜량(惠亮)이 신라에 귀화하면서 왕명으로 창건하였다는 설이 있다. 이때 비로전을 짓고 비로자나철불(鐵佛)을 봉안했으며, 대장경을 절에 보관했고 오층탑을 세웠다고 한다.

그 뒤 773년(혜공왕 9) 진표율사(眞表律師)가 중수하였고, 946년(정종 1)에 왕의 태후 신명왕후(神明王后)황보왕후(皇甫王后)가 각각 『금강경』『법화경』을 금니로 사경(寫經)해서 비로전에 봉안하였다. 970년(광종 21) 화재로 불타 버린 뒤 12년간 폐허로 남아 있다가, 982년(성종 2) 선사 회정(懷正)이 함열현 등에서 토지 1,050결(結)을 보시받아 중건하였다.

1343년(충혜왕 복위 4) 원나라 순제(順帝)의 황후 기씨(奇氏)는 고려인으로서, 황제와 태자를 위해 금 1,000정(錠)과 공인들을 보내서 굉변(宏卞)의 감독 아래 퇴락한 당우를 중건하고 새로운 누각을 건립하게 했는데, 지극한 정성과 뛰어난 솜씨는 금강산뿐만 아니라 전국에서도 그 유례를 찾기 힘든 작품이었다고 한다.

1392년(공양왕 4)에는 홍예교(虹霓橋)와 절의 사적비가 큰 비로 무너졌다. 1459년(세조 5) 세조가 행차하여 대웅전을 중수하게 하고 토지를 하사하였다. 그러나 1477년(성종 8) 화재로 전소됨에 따라 1483년 나라에서 금 3,000관과 백미 500석을 받아 일청(一淸)이 중건하였다.

1537년(중종 32) 다시 불타 버리자 1545년(인종 1) 일청이 다시 중건하였다. 그 뒤 1708년(숙종 34) 귀옥(歸玉)이 무게 3,000근의 대종을 조성하였다. 1728년(영조 4) 묘현(玅玄)이 중창하였고, 1791년(정조 15) 순상(巡相) 윤사국(尹師國)이 전(錢) 5,000관을 내어 중수하였다.

1842년(헌종 8) 부원군 조만영(趙萬永)이 금 2,500관을 보시하여 새로 300여 칸을 증축하고, 밭 40여 석을 시주하였다. 1863년(철종 14) 호조판서 김병기(金炳冀)가 주상하여 공명첩(空名帖) 500장을 내리게 하고, 자신의 재산 중 1,200냥을 보시하여 중수하게 하였다.

김병기는 1864년에도 3,000냥을 시주해서 불상 · 불화들을 보수하거나 새로 봉안하였다. 이 절은 입구에서부터 일주문(一柱門) · 운성문(雲性門)을 거쳐 만천교(萬川橋)라는 징검다리를 건너면, 숲 사이로 만수정(萬水亭)이 있고 그 안에는 ‘금강산장안사’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그 안의 오른쪽으로는 대향각(大香閣), 왼쪽으로는 극락전, 정면으로 마주 보이는 곳에는 본전인 대웅전이 있다. 1945년 이전까지는 6전(殿) · 7각(閣) · 1문(門)을 가졌으나 그 규모는 옛날에 비해 축소된 것이고, 부속 암자로 장경암(長慶庵) · 안양암(安養庵) · 지장암(地藏庵) · 영원암(靈源庵) 등을 가진 금강산 4대 사찰 중의 하나였다.

문화재로는 기황후가 중창할 때 비로자나불을 비롯하여 53불, 1만 5000불 등이 봉안되었다고 하나 지금은 전하지 않는다. 다만, 대법당 왼쪽의 지성전(至聖展)에 봉안된 나한상은 비범한 조각수법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것도 기황후 당시의 것인지 그 후대의 것인지는 단정 짓기 곤란하다.

부속 암자 중 안양암은 장안사 동북쪽 3㎞ 지점에 있는데 고려 성종 때 회정이 창건한 곳이며, 이후 회도(懷道)가 이곳에서 수도하였다. 이 암자에는 미륵불과 나한상 등이 봉안되어 있다. 또한, 영원암은 신라 때 영원조사(靈源祖師)가 창건한 것으로 금강산 일원에서도 가장 맑고 고요한 수도처로 이름 높은 곳이다.

부근의 옥초대(沃焦臺)는 영원조사가 일심으로 수도하던 곳이라는 전설이 있고, 그 앞의 반듯한 돌은 영원조사가 공부하던 곳이라고 하여 책상바위라고 이름 붙여졌다.

참고문헌

『유점사본말사지(楡岾寺本末寺誌)』
『북한사찰연구』(한국불교종단협의회, 1993)
『한국사찰전서』(권상로 편, 동국대학교 출판부, 1979)
『북한의 사찰』(한국불교연구원, 일지사, 1978)
『금강례찬(金剛禮讚)』(최남선, 1928)
집필자
김위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