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말본 (말본)

목차
관련 정보
조선말본
조선말본
언어·문자
문헌
새글집에서 김두봉이 주시경의 『국어문법』을 바탕으로 기술하여 1916년에 간행한 문법서. 국어문법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새글집에서 김두봉이 주시경의 『국어문법』을 바탕으로 기술하여 1916년에 간행한 문법서. 국어문법서.
내용

신식 활자본. 총 228면. 1916년에 새글집( 신문관(新文館))에서 간행하였다. 대체로 서울말을 바탕으로 하여 ‘맨조선말’로 썼는데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한자를 옆에 달기도 하였다.

조선광문회(朝鮮光文會)에서의 대역사전(對譯辭典)인 『신자전(新字典)』의 편찬에 이어 주시경(周時經) · 권덕규(權德奎) · 이규영(李奎榮)과 함께 국어사전『말모이』를 편찬하다가 1914년 주시경이 죽자 그 사전의 바탕이 되는 문법책으로 만든 것이 곧 이 『조선말본』이다.

따라서, 이 책의 전반적인 서술체재와 내용은 그의 스승 주시경의 『국어문법(國語文法)』에 바탕을 두고 있으나, 세부사항의 기술에 있어서는 많은 차이를 지니고 있다. ‘ 소리갈’에 있어서는 생리음성학에 더 가까워지고 구체음운론으로서의 공시음운론의 성격을 지니게 되었으며, ‘씨갈’에서는 ‘임씨 · 얻씨 · 움씨 · 겻씨 · 잇씨 · 맺씨 · 언씨 · 억씨 · 늑씨’와 같이 명칭상의 차이까지 있게 되었다. 그리고 ‘월갈’에서는 ‘속뜻, 숨은 뜻’이 ‘숨어있―’으로 통일되어 생략을 뜻하게 되었으며, 또 중주어(重主語)에 대하여서는 ‘큰 임자’와 ‘작은 임자’로 규정짓는 등의 많은 차이를 보인다.

상해 새글집에서 펴낸 수정 · 증보판인 『깁더조선말본』(1922)도 초판과 마찬가지로 ‘소리, 씨, 월’의 세 부분으로 짜여 있는데, 이 밖에 부록으로 가로풀어쓰기 등을 제시한 ‘좋을글’, 속기법을 제안한 ‘날젹’, 그리고 표준어 제정의 여러 조건들을 구체적으로 논의한 ‘표준말’이 더 붙어 있다. 개정판도 역시 『말모이글본』 대신으로 낸 것인데, 초판에 비하여 국어를 더 많이 사용하였거니와, 특히 한자어로 된 용어를 피하였다.

참고문헌

『국어문법연구(國語文法硏究) 그 어제와 오늘』(고영근, 탑출판사, 1983)
『깁더 조선말본』(김민수 외, 『역대한국문법대계』제1부, 제8책, 탑출판사, 1983)
「‘말의 소리’에서 ‘조선말본’으로」(이병근, 『연암현평효박사회갑기념논총』, 1980)
「최초(最初)의 국어사전(國語辭典) ‘말모이’」(이병근, 『언어』2-1, 1977)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병근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