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령 ()

목차
관련 정보
세종실록 / 탁령
세종실록 / 탁령
국악
작품
조선 세종 때 회례악(會禮樂)으로 창작된 정대업지악(定大業之樂) 중 네번째 곡.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세종 때 회례악(會禮樂)으로 창작된 정대업지악(定大業之樂) 중 네번째 곡.
내용

제2변(第二變)에 속한다. 노랫말은 3언12구의 한시로 「선위(宣威)」와 함께 환조(桓祖)의 무공을 노래한 것이다.

남려궁(南呂宮) 계면조(界面調)의 5음음계이다. 박(拍)은 가사 1구마다 한번씩 들어가는데, 한 박 안의 장구점을 「선위」와 비교하면 「선위」가 「탁령」보다 2배 가량 많다.

그러나 박과 함께 나오는 장구점만을 간추려보면 「선위」의 장구형과 일치하여 「탁령」도 「선위」처럼 전단과 후단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그러나 예외로 제5행과 제11행의 제1정간의 장구점, 즉 쌍(雙)과 고(鼓)가 나타나는 점이 「선위」와 다르다.

「탁령」의 이러한 장구형은 「신정(神定)」·「정세(靖世)」·「숙제(肅制)」에서 찾아볼 수 있다. 세조 때 종묘제례악으로 채택하면서 12행의 「탁령」을 둘로 나누어 그 전반은 「탁정(濯征)」이라고 칭하고, 그 후반의 곡을 따로 「정세」라고 불렀다.

이런 예로 보아 12행의 「탁령」을 6행으로 나눌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세조 때의 「신정」도「탁령」의 음악을 사용하였다.『세종실록』에 악보가 전한다.

참고문헌

『세종실록(世宗實錄)』
「종묘제례악의 음악적고찰」(장사훈, 『국악논고』, 서울대학교출판부, 1966)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