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안곡 ()

국악
작품
조선 성종 때, 악공취재(樂工取才)의 시험곡.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풍안곡은 조선 성종 때 악공취재(樂工取才)의 시험곡이다. 궁중음악인이었던 악공(樂工)을 선발할 때의 시험곡 중 한 곡이다. 이 곡은 종묘제례의 진찬례(進饌禮)에서 연주하는 곡로 포함되어 있으므로, 풍안곡은 종묘제례의 진찬례를 행할 때 연주하는 「풍안지악(豊安之樂)」을 가리키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종묘제례에서 연주되는 「풍안지악」은 전승과정에서 리듬이 변하였지만, 세조 때부터 오늘날까지 연주되는 역사성 깊은 음악이다.

정의
조선 성종 때, 악공취재(樂工取才)의 시험곡.
전승 과정

조선 성종 때 편찬된 『 경국대전(經國大典)』에는 궁중 음악인이었던 악공(樂工)취재(取才), 즉 악공을 선발할 때의 시험곡이 당악과 향악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때 풍안곡은 ‘ 진찬악(進饌樂)의 풍안곡(豐安曲)’의 곡명으로 포함되어 있다. 이로써 풍안곡은 종묘제례의 진찬례(進饌禮)를 행할 때 연주하는 「 풍안지악(豊安之樂)」을 가리키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아악의 「풍안지악」과는 다른 곡이다.

종묘제례의 진찬례에서 연주되는 「풍안지악」은 주1주2 절차에서도 연주된다. 철변두에서는 「 옹안지악(雍安之樂)」, 송신에서는 「 흥안지악(興安之樂)」이라고 한다.

구성 및 형식

황(黃) · 태(黃) · 고(姑) · 중(仲) · 임(林) · 남(南) · 응(應)의 7음 음계로 되어 있다. 7음 음계로 되어 있는 점에서 『 보태평』과 『 정대업』의 향악과 다르고, 중국의 아악 선법과도 다르다. 진찬례에서 「풍안지악」을 연주할 때, 철변두에서 「옹안지악」을 연주할 때, 송신에서 「흥안지악」을 연주할 때 일무는 추지 않는다. 4자 1구마다 박을 한 번 치는 점은 『보태평』과 『정대업』과 같다.

내용

악장은 4언 1구, 6구로 되어 있다.

집찬척척 등아조두 조두기등 악차화주 필분효사 유신기우
執㸑踖踖 登我俎豆 俎豆旣登 樂且和奏 苾芬孝祀 維神其右

밥을 짓기를 민첩하게 하여, 제가 제기[俎豆]에 담아 올립니다.
제기에 음식을 담아 올리고, 음악을 순서에 맞춰 연주합니다.
향을 피우고 효성스럽게 제사를 지내니, 신령께서는 기꺼이 도와주소서.

의의 및 평가

종묘제례에서 연주되는 「풍안지악」은 전승 과정에서 리듬이 변하였지만, 세조 때부터 오늘날까지 연주되는 역사성 깊은 음악이다.

참고문헌

원전

『경국대전(經國大典)』

단행본

『역주 경국대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0)
송지원·이숙희·김영숙, 『종묘제례악』 (민속원, 2008)

논문

이종숙, 「조선조 풍안·옹안·흥안지악의 아악성향 분석」(『한국무용사학』 12, 한국무용사학회, 2011)
주석
주1

종묘나 문묘 따위의 제사에서, 그릇을 덮는 제사 차례. 우리말샘

주2

제사가 끝난 뒤에 신을 보내는 일.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