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인시록 ()

회인시록
회인시록
한문학
문헌
조선후기 문인 김석준의 시 82수를 수록하여 1869년에 간행한 시집.
이칭
이칭
홍약루회인시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문인 김석준의 시 82수를 수록하여 1869년에 간행한 시집.
개설

2권 1책. 활자본. 표제는 ‘홍약루회인시록(紅藥樓懷人詩錄)’으로 되어 있다. 1869년(고종 6) 김석준의 집에 있는 연백당(硏白堂)에서 간행하였다. 『회인시록』의 권두에 최성학(崔性學)의 서(序)와 김석준의 지(識)가 있다. 권 상 · 하에 도합 82수가 실려 있다.

내용 및 평가

안연지(顔延之)의 「오군영(五君詠)」과 왕사진(王士禛)의 「회인시(懷人詩)」를 본떠 명공(名公)과 스승과 벗을 회고한 작품이다. 김석준은 1864년 이전의 시는 일일이 스승 이상적(李尙迪)주1을 받았다. 이상적 사후 시를 잘 지을 수도 없고 때마침 가을비가 쓸쓸히 내려 이 작품을 지은 것이라 한다.

『회인시록』의 권상에는 국내인물을 추도하고 있다. 그 중에 김정희(金正喜) · 신위(申緯) 등에 대한 것은 그 교유를 알게 하고, 기타 이상적 · 변종운(卞鍾運) · 조희룡(趙熙龍) · 정지윤(鄭芝潤) · 현기(玄錡) · 장지완(張之琬) · 전기(田琦) 등에 대한 것이 있어 각 인물의 세평을 볼 수 있게 하였다.

그 밖의 조선 후기 인물평을 알게 하였고 기타 승려나 여자까지 포함되어 있다. 『회인시록』의 권하에는 중국과 유구(琉球)의 인물에까지 미쳐 있어 해외의 교류를 아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회인시록』의 속편은 1903년에 지어진 것이다.

『회인시록』에서부터 30여 년이 흘러 그 사이 많은 사람이 유명을 달리하여 따로 100수를 지었다고 한다. 『회인시록』 속편의 권두에 김석준의 지(識)가 있다. 권두서명에 상권으로 되어 있으나 하권은 없다.

다루어진 인물 중에 박규수(朴珪壽) · 이유원(李裕元) · 김윤식(金允植) · 조수삼(趙秀三) · 김택영(金澤榮) · 강위(姜瑋) · 이건초(李建初) · 최성환(崔瑆煥) · 이건창(李建昌) · 여규형(呂圭亨) · 정만조(鄭萬朝) · 오세창(吳世昌) 등이 주목된다. 각 인물의 특징을 요약하여 읊고 있다.

김석준의 시는 고고광달(高古曠達)하다거나, 자법(字法)이 원활하고 음조가 맑다는 평을 받는다. 『회인시록』 속편의 권말에 김윤식 · 김득련(金得鍊) · 고영철(高永喆) · 김태석(金台錫) · 박겸재(朴謙載)의 발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 장서각도서 등에 있다.

참고문헌

김동건, 「조선 후기 회인시의 인물 형상화 방식」(『한국학』 36, 한국학중앙연구원, 2013)
주석
주1

하나하나 따져서 정정함.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