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리는 민요에서 지역에 따라 구별되는 음악양식이다. 토리는 음구조·선법·음비중·음기능·시김새 등과 같은 여러 총체적 특성을 바탕으로 음악 양식의 유형적 특성을 지시하는 용어이다. ‘지역명+토리’, 또는 ‘악곡명+토리’와 같이 조합하여 사용한다. 경기지역 음악양식을 경토리라 하고 서도지역 음악양식 중 하나를 난봉가토리라고 하는 것이 그 예이다. ‘지역명+토리’인 경우에는 그 지역, 그리고 ‘악곡명+토리’인 경우에는 그 악곡에 대한 모든 음고 체계적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토리와 유사한 개념으로 ‘조’, ‘제’와 같은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경기지역의 음악양식을 경토리라 하는데 선법적 특성에 따라 진경토리와 반경토리로 나눈다. 진경토리는 ‘솔-라-도-레-미’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경기지역의 대표적인 양식으로 본다. 일명 창부타령조라고도 한다. 솔이 종지음이 되는 정격 솔-선법이며, 서울 및 경기도 서북부지역에 전승된다. 5음음계 구성음 중 생략되는 음이 없으므로 요성은 두드러지지 않는다. 진경토리는 궁중음악의 평조와 같은 계통으로 본다.
역시 경기지역의 음악양식이면서 음계구조가 다른 반경토리는 ‘라-도-레-미-솔’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라가 종지음이 되는 정격 라-선법이다. 경기도 북부지역이 주된 전승지역이고, 종지음이 음계의 최저음인 정격선법이며 ‘라음계’라는 점에서 서도의 난봉가토리와 구조적으로 유사하다.
그러나 5음음계 구성음 중 생략되는 음이 없으므로 요성은 두드러지지 않는다는 점은 진경토리와 같다. 즉 반경토리는 진경토리와 수심가토리의 특성이 섞인 변종으로 볼 수 있다. 반경토리는 궁중음악의 계면조와 같은 계통으로 본다.
서도지역의 음악양식은 수심가토리라 하는데, ‘레-미-(×)-라-도’의 구조로 되어 있다. 수심가토리는 레음이 종지음이 되는 정격 레-선법이며, 종지음의 5도 윗음을 떨되, 그 아래 음인 솔이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 수심가토리의 분포지역은 평안도를 중심으로 한 관서지방이다.
역시 서도지역의 음악양식으로 난봉가토리가 있다. ‘라-도-(레)-미-솔’의 구조이며 라가 종지음이고, 미가 요성음이다. 음계의 제3음인 레는 비교적 생략되는 경향이 많은데, <몽금포타령>의 경우 경기명창이 부를 때는 레가 드러나지만, 서도명창이 부를 때는 현저히 그 사용이 줄어든다.
수심가토리와 반경토리가 지역적으로 인접하여 있고, 인적 · 사회적 교류에 의하여 상호 혼합되면서 음계 구성음의 구조는 반경토리를 유지한 채, 수심가토리의 특징인 제3음 생략과 제4음(종지음의 5도 윗 음) 요성을 받아들여 난봉가토리라는 새로운 선법을 형성한 것이다.
남도지역의 음악양식은 육자백이토리라 하며 ‘미-(×)-라-도-레-미 / 미-레-도-시-라-(×)-미’의 구조로 되어 있다. 육자백이토리는 라가 종지음이고, 종지음의 아래 음역이 활발하게 사용되는 점에서 변격 라-선법이다. 솔이 출현하지 않는 점이 특징적이고, 하행시에 도→시의 반음이 즐겨 사용된다.
즉 육자백이토리는 상행과 하행이 다른 구조로 된 선법이다. 한국민요 중 유일하게 유반음 5음음계이다. 전승지역은 호남지방이 중심이 되며, 경상도 서남부지역에까지 퍼져 있다.
동부지역의 음악양식은 메나리토리라 하며, ‘미-(×)-라-도-레-미 / 미-레-도-라-솔-미’의 구조로 되어 있다. 메나리토리는 라가 종지음이고, 종지음의 아래 음역이 활발하게 사용되는 점에서 변격 라-선법이다. 상행시에 솔이 출현하지 않고, 하행시에 솔이 라→미의 경과음으로 즐겨 사용되는 것이 특징적이며, 레는 도의 장식음(앞꾸밈음)처럼 쓰이는 경우도 많다.
메나리토리 역시 상행과 하행시의 구조가 다른 선법이다. 그 전승지역은 강원도 · 경상도 대부분 지역과 충청북도 지역, 전라도 동부 산간지방, 경기도 동부지방 및 함경도 해안지방 등에 넓게 분포되어 있다.
동부지역의 음악양식 가운데 메나리토리와 약간 구조가 다른 것이 있다. 이를 어사용토리라 한다. ‘도-레-미-솔-라’의 구조이며 정격 도-선법인데, 주로 경상도와 충청북도 지역에 전승된다.
이 지역은 정격 선법인 경토리와 변격 선법인 메나리토리가 만나는 지역인데, 어사용토리는 경토리의 정격 선법으로서의 특징과 메나리토리의 변격 선법적인 특징이 적절히 혼합된 구조를 보인다.
이외에 신경토리, 또는 남부경토리라 하여 ‘솔-라-도-레-미’의 구조로 된 것도 있다. 이 선법은 도가 종지음이며, 솔이 음계의 최저음인 변격 도-선법이다. 이 선법은 진경토리와 남도계면조 즉 육자백이토리의 변종 선법이다.
한강 이북의 서울 · 경기도 지역에 전승되는 진경토리와 한강 이남지역 무속음악이나 금강 이남지역 민요에 널리 보이는 육자백이토리가 지역적으로 인접하여 있고, 자연스럽게 인적 · 사회적 교류에 의하여 상호 영향을 주면서 생성된 것이 신경토리이다.
그러나 솔-라-도-레-미의 5음음계 변격 도-선법은 일본식 창가의 ‘요나누키 장음계’와 구성음 및 음의 기능이 같고, 서양의 5음음계와도 같다. 그리고 이러한 음조직이 주로 신민요에 많이 나타난다는 점에서 외래음악의 영향도 전혀 배제하기는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