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리

목차
관련 정보
국악
개념
민요에서 지역에 따라 구별되는 음악양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토리는 민요에서 지역에 따라 구별되는 음악양식이다. 토리는 음구조·선법·음비중·음기능·시김새 등과 같은 여러 총체적 특성을 바탕으로 음악 양식의 유형적 특성을 지시하는 용어이다. ‘지역명+토리’, 또는 ‘악곡명+토리’와 같이 조합하여 사용한다. 경기지역 음악양식을 경토리라 하고 서도지역 음악양식 중 하나를 난봉가토리라고 하는 것이 그 예이다. ‘지역명+토리’인 경우에는 그 지역, 그리고 ‘악곡명+토리’인 경우에는 그 악곡에 대한 모든 음고 체계적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토리와 유사한 개념으로 ‘조’, ‘제’와 같은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목차
정의
민요에서 지역에 따라 구별되는 음악양식.
개설

토리는 음구조, 선법, 음비중, 음기능, 시김새 등과 같은 여러 총체적 특성으로 음악 양식 유형 특성을 지시하는 용어이다. ‘지역명+토리’, 또는 ‘악곡명+토리’와 같이 조합하여 사용한다.

‘지역명+토리’인 경우에는 일정 지역의 음고 체계적 특성을 총체적으로 가리키며, ‘악곡명+토리’인 경우에는 그 악곡에 나타나는 모든 음고 체계적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토리와 유사한 개념으로 ‘조’, ‘제’와 같은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내용

경기지역의 음악양식을 경토리라 하는데 선법적 특성에 따라 진경토리와 반경토리로 나눈다. 진경토리는 ‘솔-라-도-레-미’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경기지역의 대표적인 양식으로 본다. 일명 창부타령조라고도 한다. 솔이 종지음이 되는 정격 솔-선법이며, 서울 및 경기도 서북부지역에 전승된다. 5음음계 구성음 중 생략되는 음이 없으므로 요성은 두드러지지 않는다. 진경토리는 궁중음악의 평조와 같은 계통으로 본다.

역시 경기지역의 음악양식이면서 음계구조가 다른 반경토리는 ‘라-도-레-미-솔’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라가 종지음이 되는 정격 라-선법이다. 경기도 북부지역이 주된 전승지역이고, 종지음이 음계의 최저음인 정격선법이며 ‘라음계’라는 점에서 서도의 난봉가토리와 구조적으로 유사하다.

그러나 5음음계 구성음 중 생략되는 음이 없으므로 요성은 두드러지지 않는다는 점은 진경토리와 같다. 즉 반경토리는 진경토리와 수심가토리의 특성이 섞인 변종으로 볼 수 있다. 반경토리는 궁중음악의 계면조와 같은 계통으로 본다.

서도지역의 음악양식은 수심가토리라 하는데, ‘레-미-(×)-라-도’의 구조로 되어 있다. 수심가토리는 레음이 종지음이 되는 정격 레-선법이며, 종지음의 5도 윗음을 떨되, 그 아래 음인 솔이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 수심가토리의 분포지역은 평안도를 중심으로 한 관서지방이다.

역시 서도지역의 음악양식으로 난봉가토리가 있다. ‘라-도-(레)-미-솔’의 구조이며 라가 종지음이고, 미가 요성음이다. 음계의 제3음인 레는 비교적 생략되는 경향이 많은데, <몽금포타령>의 경우 경기명창이 부를 때는 레가 드러나지만, 서도명창이 부를 때는 현저히 그 사용이 줄어든다.

수심가토리와 반경토리가 지역적으로 인접하여 있고, 인적 · 사회적 교류에 의하여 상호 혼합되면서 음계 구성음의 구조는 반경토리를 유지한 채, 수심가토리의 특징인 제3음 생략과 제4음(종지음의 5도 윗 음) 요성을 받아들여 난봉가토리라는 새로운 선법을 형성한 것이다.

남도지역의 음악양식은 육자백이토리라 하며 ‘미-(×)-라-도-레-미 / 미-레-도-시-라-(×)-미’의 구조로 되어 있다. 육자백이토리는 라가 종지음이고, 종지음의 아래 음역이 활발하게 사용되는 점에서 변격 라-선법이다. 솔이 출현하지 않는 점이 특징적이고, 하행시에 도→시의 반음이 즐겨 사용된다.

즉 육자백이토리는 상행과 하행이 다른 구조로 된 선법이다. 한국민요 중 유일하게 유반음 5음음계이다. 전승지역은 호남지방이 중심이 되며, 경상도 서남부지역에까지 퍼져 있다.

동부지역의 음악양식은 메나리토리라 하며, ‘미-(×)-라-도-레-미 / 미-레-도-라-솔-미’의 구조로 되어 있다. 메나리토리는 라가 종지음이고, 종지음의 아래 음역이 활발하게 사용되는 점에서 변격 라-선법이다. 상행시에 솔이 출현하지 않고, 하행시에 솔이 라→미의 경과음으로 즐겨 사용되는 것이 특징적이며, 레는 도의 장식음(앞꾸밈음)처럼 쓰이는 경우도 많다.

메나리토리 역시 상행과 하행시의 구조가 다른 선법이다. 그 전승지역은 강원도 · 경상도 대부분 지역과 충청북도 지역, 전라도 동부 산간지방, 경기도 동부지방 및 함경도 해안지방 등에 넓게 분포되어 있다.

동부지역의 음악양식 가운데 메나리토리와 약간 구조가 다른 것이 있다. 이를 어사용토리라 한다. ‘도-레-미-솔-라’의 구조이며 정격 도-선법인데, 주로 경상도와 충청북도 지역에 전승된다.

이 지역은 정격 선법인 경토리와 변격 선법인 메나리토리가 만나는 지역인데, 어사용토리는 경토리의 정격 선법으로서의 특징과 메나리토리의 변격 선법적인 특징이 적절히 혼합된 구조를 보인다.

이외에 신경토리, 또는 남부경토리라 하여 ‘솔-라-도-레-미’의 구조로 된 것도 있다. 이 선법은 도가 종지음이며, 솔이 음계의 최저음인 변격 도-선법이다. 이 선법은 진경토리와 남도계면조 즉 육자백이토리의 변종 선법이다.

한강 이북의 서울 · 경기도 지역에 전승되는 진경토리와 한강 이남지역 무속음악이나 금강 이남지역 민요에 널리 보이는 육자백이토리가 지역적으로 인접하여 있고, 자연스럽게 인적 · 사회적 교류에 의하여 상호 영향을 주면서 생성된 것이 신경토리이다.

그러나 솔-라-도-레-미의 5음음계 변격 도-선법은 일본식 창가의 ‘요나누키 장음계’와 구성음 및 음의 기능이 같고, 서양의 5음음계와도 같다. 그리고 이러한 음조직이 주로 신민요에 많이 나타난다는 점에서 외래음악의 영향도 전혀 배제하기는 어렵다.

참고문헌

「한국 민요선법의 특징」(김영운, 『한국음악연구』28, 2000)
「토리의 개념과 유용론」 (이보형, 『소암권오성박사화갑기념음악학논총』, 200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