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어사 묘법연화경 ( )

불교
문헌
문화재
1527년(중종 22)부터 1711년(숙종 37) 사이에 간행된 19종의 『법화경』 불경.
이칭
약칭
범어사 법화경(梵魚寺 法華經)
문헌/고서
편찬 시기
조선 후기
간행 시기
1527년(중종 22)~1711년(숙종 37)
저자
구마라집(鳩摩羅什)
권책수
84권 83책
판본
목판본
소장처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
시도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부산광역시
종목
시도유형문화재(1999년 11월 19일 지정)
소재지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 성보박물관
내용 요약

범어사 묘법연화경은 1527년(중종 22)부터 1711년(숙종 37) 사이에 간행된 19종의 『법화경』 불경이다. 법화 사상의 핵심 경전으로 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오신 뜻을 밝히는 데 그 요지를 두고 있으며, 『화엄경』 · 『금강경』과 더불어 대표적인 대승 경전이다. 범어사 도서인 묘법연화경은 간기(刊記)가 있는 19종 84권 83책의 목판본이다.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아 1999년 11월 19일에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정의
1527년(중종 22)부터 1711년(숙종 37) 사이에 간행된 19종의 『법화경』 불경.
저자 및 편자

신장 위구르 쿠차[龜玆=庫車] 출신의 불교 사상가 · 번역가인 구마라집(鳩摩羅什, 344~413)이 한역(漢譯)하였다. 7세에 어머니를 따라 출가하여 서역 카슈미르 야르칸드에서 대승(大乘) · 소승(小乘)을 배우고 고국에 돌아와 열심히 대승을 설파하여 그 명성은 중국 내부에까지 퍼졌다. 401년에 후진왕(後秦王) 요흥(姚興, 재위 394~416)에게 국사(國師)로서 영접되어 장안의 서명각(西明閣)과 소요원(逍遙園)에 머물면서 경전의 번역에 종사하며 35부 294권의 불경을 한문으로 완역하였다.

서지사항

범어사(梵魚寺) 도서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은 1527년(중종 22)부터 1711년(숙종 37) 사이에 간행된 19종의 주1』 불경이다. 주2가 있는 19종 84권 83책의 목판본으로서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일괄 지정되었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간행 연도: 1527년(중종 22), 간행처: 안동 광흥사(廣興寺), 책 수: 2권 1책, 소장번호: 고46, 판본: 목판본 (2) 간행 연도: 1531년(중종 26), 간행처: 영천 팔공산본사(八公山本寺), 책 수: 2권 1책, 소장번호: 고72, 고73, 판본: 번각본 (3) 간행 연도: 1631년(인조 9), 간행처: 청도 수암사(水巖寺), 책 수: 3권 3책, 소장번호: 고74~고76, 판본: 목판본 (4) 간행 연도: 1636년(인조 14), 간행처: 함양 군자사(君子寺), 책 수: 1권 1책, 소장번호: 고33, 판본: 목판본 (5) 간행 연도: 1638년(인조 16), 간행처: 밀양 영정사(靈井寺), 책 수: 16권 16책, 소장번호: 고6~고21, 판본: 목판본 (6) 간행 연도: 1639년(인조 17), 간행처: 곤양 서봉사(栖鳳寺), 책 수: 1권 1책, 소장번호: 고22, 판본: 목판본 (7) 간행 연도: 1646년(인조 24), 간행처: 전주 백운암(白雲庵), 책 수: 2권 2책, 소장번호: 고1, 고2, 판본: 목판본 (8) 간행 연도: 1646년(인조 24), 간행처: 김해 감로사(甘露寺), 책 수: 4권 4책, 소장번호: 고77~고80, 판본: 목판본 (9) 간행 연도: 1647년(인조 25), 간행처: 김해 감로사(甘露寺), 책 수: 1권 1책, 소장번호: 고1001, 판본: 목판본 (10) 간행 연도: 1649년(효종 원년), 간행처: 양산 통도사(通度寺), 책 수: 4권 4책, 소장번호: 고23~고25, 고114, 판본: 목판본 (11) 간행 연도: 1668년(현종 9), 간행처: 울산 운흥사(雲興寺), 책 수: 26권 26책, 소장번호: 고81~고106, 판본: 목판본 (12) 간행 연도: 1669년(현종 10), 간행처: 개령 고방사(敲防寺), 책 수: 3권 3책, 소장번호: 고27~고29, 판본: 목판본 (13) 간행 연도: 1675년(숙종 원년), 간행처: 창원 화장사(華藏寺), 책 수: 3권 3책, 소장번호: 고30~고32, 판본: 목판본 (14) 간행 연도: 1685년(숙종 11), 간행처: 청송 대전사(大典寺), 책 수: 2권 2책, 소장번호: 고36, 고37, 판본: 목판본 (15) 간행 연도: 1685년(숙종 11), 간행처: 함양 안왕사(安王寺), 책 수: 7권 7책, 소장번호: 고123, 판본: 목판본 (16) 간행 연도: 1688년(숙종 14), 간행처: 경주 천룡사(天龍寺), 책 수: 1권 1책, 소장번호: 고38, 판본: 목판본 (17) 간행 연도: 1691년(숙종 17), 간행처: 묘향산 보현사(普賢寺), 책 수: 1권 1책, 소장번호: 고26, 판본: 목판본 (18) 간행 연도: 1708년(숙종 34), 간행처: 밀양 영은사(靈隱寺), 책 수: 3권 3책, 소장번호: 고3~고5, 판본: 목판본 (19) 간행 연도: 1711년(숙종 37), 간행처: 고성 법천사(法泉寺), 책 수: 2권 2책, 소장번호: 고34, 고25, 판본: 목판본

구성과 내용

법화 사상(法華思想)의 핵심 경전인 『묘법연화경』은 한국 불교계의 근본 경전의 하나로서 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오신 뜻을 밝히는 데 그 요지를 두고 있으며, 『 화엄경(華嚴經)』 · 『 금강경(金剛經)』과 더불어 대표적인 대승 경전(大乘經典)이다. 예로부터 『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 · 『 선문염송(禪門拈頌)』과 함께 불교전문강원의 수의과(隨意科) 과목으로 채택되어 강의되고 있으며, 한국 불교 사상의 확립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경전이다.

의의 및 평가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에 소장된 『묘법연화경』의 간행 기록을 알 수 있는 것 가운데 특히 1647년, 1688년, 1708년, 1711년의 간행본은 지금까지 알려진 『법화경』 자료에서 누락된 간행본으로, 이 분야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아 1999년 11월 19일에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 도서)

기타 자료

송정숙, 「폭포사 묘법연화경 조사보고서」(부산광역시 문화재위원회, 2013. 5. 6)
주석
주1

가야성(迦耶城)에서 도를 이룬 부처가 세상에 나온 본뜻을 말한 경전. 모든 불교 경전 가운데 가장 존귀하게 여겨지는 경전이다. 쿠마라지바가 중국어로 번역하였다. 8권 28품.    우리말샘

주2

동양의 간행본에서, 출판한 때ㆍ곳ㆍ간행자 따위를 적은 부분.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