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안사 명부전 석조지장삼존 및 시왕상 복장유물은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사의 명부전 석조지장삼존 및 시왕상 복장에서 나온 유물이다. 장안사 명부전에 봉안되어 있는 석조지장삼존상과 시왕상은 17세기 중 · 후반에 경상도를 거점으로 활동한 조각승 승호가 중심이 되어 조성하였다. 복장물 전적으로는 『법화경』, 『능엄경』, 『부모은중경·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 『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 『예념미타도량참법』 등 10종이 있다. 불상과 복장유물의 국가유산의 가치를 인정받아 2018년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장안사(長安寺) 명부전(冥府殿)에 봉안되어 있는 석조 지장보살 삼존상과 시왕상 및 권속 일괄로 재료는 불석이다. 시왕상에 각종 서수와 다양한 자세와 모습 등이 표현되어 있으며, 보관에 표현된 꽃과 문양이 화려하다. 복장물은 조성발원문, 후령통, 전적, 다라니 등이 있다. 1684년(숙종 10) 6월에 승호(勝浩)가 중심이 되어 희연(熙衍), 천휘(天輝), 천택(天澤), 법능(法能), 법종(法宗), 수종(守宗), 처흘(處屹), 도신(道信) 등이 참여하여 제작하였다.
승호는 17세기 중 · 후반에 경상도를 거점으로 활동한 조각승으로 1640년(인조 18) 청허가 제작한 ‘거창 심우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조성에 참여하였다. 또한, 그는 수화승으로 1678년(숙종 4)에 조성된 청도 덕사 영산전 석조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 명부전 석조지장삼존상 및 시왕상, 1681년(숙종 7)에 창원 성주사의 석조지장시왕상, 1685년(숙종 11) 청송 대전사의 석조석가여래삼존불좌상 등을 제작하였다.
명부전에는 도명존자와 무독귀왕을 협시로 한 지장보살상을 중심으로 좌우에 시왕상, 동자, 귀왕, 판관, 사자, 금강역사상 등 모두 23구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존상은 짧은 신체와 무릎이 높은 비례에 좁은 어깨, 방형의 큰 얼굴, 원만한 인상, 간결한 옷주름 표현 등 조각승 승호의 개성적인 표현이 잘 드러나 있다. 시왕상은 서수를 밟고 있는 태산대왕상, 원류관 중앙에 크게 장식된 모란꽃 표현, 변성대왕상의 관에 있는 날개를 활짝 편 봉황이 장식된 것이 특징이다.
지장보살상과 시왕상에는 모두 복장물을 넣을 수 있는 복장공(腹藏空)이 마련되어 있다. 시왕상의 복장 방식이 십자형으로 홈을 파고 대나무로 끼워 막았으나 복장물이 심하게 훼손된 상태로 발견되었다. 전적은 『법화경(法華經)』, 『 능엄경(楞嚴經)』, 『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 ·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佛說長壽滅罪護諸童子陀羅尼經)』(합부), 『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水陸無遮平等齋儀撮要)』, 『 예념미타도량참법(禮念彌陀道場懺法)』 등 10종이 있다.
『법화경』은 대승 불전을 대표하는 경전이며, 『능엄경』은 고려시대 이래 선종에서 특히 중시된 경전이다. 『부모은중경』은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과 하나의 세트로 간행하는 사례가 많았다. 이 복장 전적은 태종의 후궁인 명빈 김씨가 발원하여 1432년(세종 14)에 간행한 것이다. 『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는 수륙재에 행하는 수인(手印) 및 진언(眞言)을 정리하고‚ 실제로 재를 실행할 때 사용되는 소(疏)‚ 방문(榜文) 등을 정리한 불교의례서이다.
이 책은 복잡한 수륙재의 의식 절차를 간추려 요약, 정리한 것이다. 따라서 수륙재 관련 의식집 가운데 선호된 전적이며, 빈번하게 간행되었다. 편자와 편찬 시기는 알 수 없으며 전체 30편으로 구성되었고, 『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과 함께 간행된 경우가 많았다. 『예념미타도량참법』은 금(金)의 왕자성(王子成 )이 과거의 죄를 참회하고 극락왕생을 발원하는 법회의 절차를 다룬 것이다.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사 명부전의 존상들은 조성 시기와 제작자가 명확하고 17세기 중 · 후반기 불석제 불상에 보이는 일반적 특징이 잘 반영되어 있다. 조선 후기 조각승 승호의 작품 경향과 불석제 불상 연구, 조선 후기 경상도 지역의 불교미술사 연구를 위한 자료적 가치가 있다. 불교미술사, 불교 서지학사 등에서 국가유산의 가치를 인정받아 2018년 3월 27일에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