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관주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평안북도 용천에서 3·1운동에 참여하고 군자금을 모금하였으며, 국외로 망명하려다 체포되어 옥고를 치른 독립유공자.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8년(대한제국 광무 2년)
사망 연도
1984년 7월 20일
출생지
평안북도 용천
대표 상훈
건국훈장 독립장(1963)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장관주는 일제강점기 1919년 평안북도 용천에서 3·1운동에 참여하여 태형 90대를 맞았다. 이후 대한독립단 단원들과 연계하여 군자금을 모금하고 1920년 국외로 망명하려다 안동현에서 체포되어 1921년 신의주지방법원에서 실형을 선고받고 3년간 옥고를 치른 독립유공자이다.

정의
일제강점기 평안북도 용천에서 3·1운동에 참여하고 군자금을 모금하였으며, 국외로 망명하려다 체포되어 옥고를 치른 독립유공자.
인적 사항

장관주(張觀柱)는 1898년 11월 7일 평안북도 용천에서 출생하여 1984년 7월 20일 서울에서 사망하였다.

주요 활동

1919년 평안북도 용천에서 3 · 1운동을 주도하다가 체포되어 태형 90대를 맞았다고 한다. 용천에서의 만세 시위는 3월 4일 양시, 3월 6일 남시, 4월 1일 양광면, 4월 6일 9읍 등지에서 4회에 걸쳐 전개되었으며, 40명 이상이 체포되었다. 장관주도 이때 검거된 것으로 보인다.

이후 장관주는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 단원들과 연계하여 용천과 철산 일대에서 활동하였다고 한다. 대한독립단은 1919년 4월 중국 봉천성(奉天省, 지금의 랴오닝성) 류허현〔柳河縣〕 삼원보(三源堡)에서 박장호 · 백삼규 · 전덕원 등이 결성한 독립운동 단체로, 평안도와 황해도 일대에서 군자금을 모금하였다. 이들 중 군사부장 전덕원은 유인석의 문인으로 의병 투쟁에 참여한 바 있으며, 장관주와 같은 평안북도 용천 출신이었다. 대한독립단은 1919년 말 복벽주의자(復辟主義者) 중심의 기원독립단(紀元獨立團)과 공화주의자(共和主義者) 중심의 민국독립단(民國獨立團)으로 양분되었는데, 박장호 등은 기원독립단에 참여하였다.

장관주는 국내에 잠입한 기원독립단 재무부장 전덕원 등을 자택에 숨겨주고 함께 군자금을 모금하다가 체포되어 평양형무소에 수감되었다고 한다. 1920년 3월경에는 상하이 임시정부의 여순근으로부터 입수한 폭탄을 유성삼을 통하여 평양기홀병원의 여행렬에게 전달하였다. 유성삼은 평양의 기홀병원에서 독립의용단(獨立義勇團)을 조직하고 의열 투쟁을 계획하고 있었다. 여순근의 아들이자 의용단 모험대장인 여행렬은 8월 평양부청에 폭탄을 던졌으나 실패하고 체포되어 평양지방법원에서 징역 8년 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이후 장관주는 이승훈조만식 등에게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하였다고 하며, 지속적인 독립운동을 위하여 국외로 망명하려다 안동현에서 체포되어 신의주형무소에서 3년간 복역하였다고 한다. 보도에 따르면, 1927년 2월 신의주경찰서에서는 일본의 관공서를 파괴하고 관리를 암살하려던 전덕원을 안동현에서 체포하였는데, 장관주도 이 무렵 체포된 것으로 짐작된다.

상훈과 추모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수여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정인·이정은, 『국내 3·1운동Ⅰ-중부·북부』(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독립유공자 공훈록』 4(국가보훈처, 1987)

논문

박환, 「대한독립단의 조직과 활동」, 『한국민족운동사연구』 3(한국민족운동사연구회, 1989)

신문·잡지

「독립유공자 장관주옹 별세」(『조선일보』, 1984. 7. 22.)
「독립유공자 장관주옹」(『동아일보』, 1984. 7. 21.)
「○○단 수령 전덕원 신의주서에서 체포」(『중외일보』, 1927. 3. 11.)
「의용단 모험대장 여행렬씨 출옥」(『조선일보』, 1927. 2. 26.)
「용천서 대활동」(『조선일보』, 1921. 9. 12.)
집필자
한규무(광주대학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