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산집 ()

목차
관련 정보
미산집 / 한장석
미산집 / 한장석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한장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4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한장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14권 7책. 연활자본. 1934년에 간행되었다. 권두에 신응조(申應朝)의 서문, 유신환(兪莘煥)의 『삼관필경(三觀筆耕)』 서문 및 자서(自序)와 권말에 김인식(金仁植)의 문집 발문 및 이용신(李庸信)의 연보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국사편찬위원회 등에 있다.

권1·2에 사부(辭賦) 2편, 시 49수, 권3·4에 시 56수, 서(書) 30편, 권5·6에 서(書) 8편, 소계(疏啓) 26편, 응제문(應製文) 33편, 권7·8에 서(序) 33편, 기 26편, 권9·10에 제발(題跋) 6편, 명(銘) 8편, 찬 3편, 잠 1편, 상량문 4편, 강의(講義) 5편, 잡저 22편, 권11·12에 제문 29편, 애사 2편, 비(碑) 3편, 묘갈 8편, 묘지 13편, 권13·14에 묘표 5편, 행장 4편, 시장(諡狀) 1편, 가장(家狀) 2편, 부록으로 연보가 있다.

서(書)에는 스승 유신환을 비롯해 종유(從遊: 학덕이 있는 사람과 더불어 놂)하던 당대의 명사들인 서응순(徐應淳)·신응조·김학진(金鶴鎭) 등과 학문을 논하고 문장을 토론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다. 특히, 김준혁(金駿赫)에게 답한 별지는 사단(四端)·도(道)와 『중용』에 대한 논변들이다.

소·계에는 사직소(辭職疏)와 당시의 시폐를 진언한 것이 많다. 명의 「심경재명(心鏡齋銘)」은 마음은 마치 거울과 같아 물욕에 가리면 자신의 선불선(善不善)을 살필 수 없는 것이므로, 거울처럼 환히 비칠 수 있어야 미세한 것까지도 살펴보게 된다고 자경(自警)하였다.

잡저 가운데 「독사(讀史)」는 주로 한사(漢史)를 읽고 쓴 독후감으로, 저자의 사관(史觀)을 엿볼 수 있다. 「정론(政論)」은 용법(用法)·선거(選擧)·친현(親賢)·위군(爲君)·전제(田制)·심관(審官) 등의 조목으로 나누어 정치에 대한 포부와 경륜을 피력한 것으로, 저자의 정치관을 엿볼 수 있는 자료이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박석무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