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암집 ()

목차
관련 정보
밀암집 / 이재
밀암집 / 이재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32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32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5권 13책. 목판본. 1732년(영조 8) 그의 아들 인환(寅煥) 등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권1·2에 사(辭)와 시, 권3∼9에 서(書), 권10·11에 잡저로서 금수기문(錦水記聞), 권12에 잡저와 서(序), 권13에 기, 권14에 발(跋)·잠(箴)·명(銘)·상량문, 권15에 애사·축문·제문, 권16에 전(傳)·비(碑), 권17에 묘표·묘갈명·묘지명, 권18에 묘지명, 권19∼21에 행장, 권22·23에 가전(家傳)·실기(實記)·가세고사(家世故事)·밀암자서(密菴自序), 권24·25는 부록으로 연보·행장·묘지명·만사·애사·제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문집에 수록된 시는 모두 356수인데 그 중 만사 51수를 빼면 305수이다. 이 가운데 이재의 아버지 현일(玄逸)이 영달해 서울을 오르내릴 때 그를 수행하면서 감회를 읊은 시도 적지 않다. 또한, 현일이 관직에서 쫓겨나 홍원(洪原)·종성(鍾城)·광양(光陽) 등지로 유배를 당하게 됨에 이재가 아버지를 수행하면서 쓴 많은 시는 풍진(風塵)에 찌든 심정이 잘 나타나고 있다.

서(書)는 100여명에게 한 223편이 수록되어 있다. 영남지방에서 구제밀찰(九祭密札: 구사당 김낙행의 제문과 밀암 이재의 편지라는 뜻)이란 말이 널리 퍼져 있으리만큼 이재의 서는 훌륭하기로 이름났다.

편지를 주고받은 인물 가운데는 정시한(丁時翰)·이만부(李萬敷)·권상일(權相一)·김성탁(金聖鐸)·이상정(李象靖) 등 저명한 학자들이 많다. 서에는 이기설(理氣說)·사칠설(四七說)·예설·경의(經義) 등에 관한 문답이 많아 이재의 사상을 이해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이재의 학문을 엿볼 수 있는 것으로는 서 이외에도 권11·12의 잡저편인 「금수기문」을 들 수 있다. 여기에는 태극설·이기설·수양론·인심도심설 등 순수한 학문적인 문제들에 관해 그가 읽고, 듣고, 느낀 바 등을 수집, 기록하고 있다.

또한, 권23의 「밀암자서」도 이재의 학문요지를 알 수 있는 것이다. 이 글은 이재 스스로 자신의 학문적 입장과 주장의 요지를 집약 정리한 것으로, 이재의 사상과 학문을 이해하는 데 좋은 자료라 할 수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완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