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천평야 ()

목차
자연지리
지명
평안북도 박천군과 영변군 일대에 걸쳐 있는 평야.
목차
정의
평안북도 박천군과 영변군 일대에 걸쳐 있는 평야.
내용

대령강과 청천강의 퇴적작용으로 생긴 충적지와 그 주변의 구릉지로 이루어진 박천평야는 보통 청천강 남쪽의 안주평야(安州平野)와 더불어 안주·박천평야로 통합하여 부르기도 한다.

기후는 대체로 기온의 연교차가 심한 대륙성기후이며, 연강수량은 1,168㎜ 정도이다. 평안북도와 평안남도의 접경으로 경의선 철도가 지나고 맹중리에서 분기한 박천선이 박천읍에까지 연결된다.

또한 청천강·대령강의 수운도 편리하다. 이러한 사회·경제적 조건과 더불어 넓은 충적지라는 지형 조건과 농업용수가 풍부한 까닭에 서북 지방의 중요한 미곡 산지가 되고 있다.

전작 지대가 많아 다수확 작물인 옥수수를 주로 재배하고, 조·밀·콩·수수를 산출하며 1940년까지만 하여도 인근의 영변·희천과 더불어 전국에서 손꼽히는 양잠 지대로 알려져 있었다. 이것을 배경으로 정주나 박천 등의 중심지에는 일찍부터 견직 공업이 발달하였다.

이 지역은 금·은·운모·흑연 등 광산물도 산출되며, 특히 금운모(金雲母)는 그 매장량이 세계적으로 알려졌다. 대륙성기후를 이루기 때문에 온대낙엽활엽수가 주를 이루는데, 참피나무·박달나무·잣나무·전나무 등이 주종을 이룬다.

본래는 고구려의 옛터로 발해의 영토가 되었다가 발해 멸망 후 여진(女眞)의 영토로 되었는데 이후에는 고려의 영토로 귀속되었다. 그 이후로 서북 지방의 중요한 교통로의 기능을 하는 중요한 관계적 위치를 차지하는 곳이다.

참고문헌

『한국지명연구』(홍시환, 육군사관학교, 1968)
『신한국지리』(강석오, 새글사, 1974)
『한국지리』(권혁재, 법문사, 1987)
집필자
홍시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