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불서승도 ()

목차
관련 정보
염불서승도(김홍도 작)
염불서승도(김홍도 작)
회화
작품
조선 후기의 화가 김홍도(金弘道)가 그린 도석인물화(道釋人物畫).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화가 김홍도(金弘道)가 그린 도석인물화(道釋人物畫).
내용

삼베바탕에 옅은 채색. 세로 20.8㎝, 가로 28.7㎝. 간송미술관 소장이다.

제목인 ‘염불서승(念佛西昇)’은 염불하며 서방정토로 올라간다는 의미이다. 구름 위로 놓인 연화대에 앉은 승려의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 이 모습은 마치 신라 경덕왕 때 양산 포천산에서 아미타불을 염송(念誦)하던 다섯 명의 비구가 연화대에 앉아 서쪽을 향해 떠나갔던 일이나, 9세기 초 강주 미타사의 여종인 욱면(郁面)이 염불하여 연화대에 앉아 서방세계로 떠났다는 삼국사기 권5 '욱면비염불서승郁面婢念佛西昇'의 내용을 그린 듯하다.

화면 왼편 상단에 해행체(楷行體)로 쓴 ‘檀老(단로)’라는 관지(款識)가 있고, 그 밑으로 그의 자인 ‘士能(사능)’을 새긴 주문방인(朱文方印)과 그의 호 ‘檀園(단원)’을 새긴 백문방인(白文方印)을 연이어 찍었다.

구름 위에 피어난 연꽃 위에 결가부좌(結跏趺坐)한 선승이 염불왕생을 염원하고 있다. 부글부글 끓는 듯한 구름과 연꽃, 그 속에서 피어나 열매를 맺은 듯한 스님의 뒷모습, 그리고 담청으로 달빛으로부터 차분하게 우린 배경이 미묘한 조화를 이루고 있다.

연화대좌 속에서도 두광(頭光)처럼 빛나는 달빛 속에 스님의 뒷모습에서는 초탈함이 엿보이고, 달빛이 반사되어 비치는 장삼에서는 달밤의 정치마저 느낄 수 있다. 김홍도는 50대 후반 이후 석화(釋畫)를 즐겨 그렸는데, 그 가운데 높은 격조를 갖춘 명품이라 하겠다.

참고문헌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 -탄신 250주년 기념 특별전-』(삼성문화재단, 1995)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정병모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