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 소전머리 황장승 ( 소전머리 장승)

목차
관련 정보
영암 소전머리 황장승 정측면
영암 소전머리 황장승 정측면
민간신앙
유적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학암마을에 있는 사각석비형 입석 장승. 석장생. 시도민속문화재.
목차
정의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학암마을에 있는 사각석비형 입석 장승. 석장생. 시도민속문화재.
내용

1기(基). 1986년 전라남도 민속자료로 지정되었다. 영암·목포·도갑사가 갈라지는 동구림리삼거리에서 도갑사 방향 오른쪽 400∼500m 거리, 속칭 소전머리〔牛市場〕 대나무밭 옆에 있다.

이 황장생은 가까운 죽정리국장생(竹亭里國長生)과 마찬가지로 사각석비형(四角石碑形)의 입석 장생이다. 크기는 높이 105∼120cm, 너비 67cm, 두께 22∼66cm이다. 전면에는 가로 20∼27cm, 세로 18∼20cm 크기의 ‘皇長生(황장생)’ 3자만이 해서체로 음각되어 있다. 오랜 풍우로 인하여 마멸되었는지 모르지만 국장생에서처럼 주변에 다른 문자는 확인되지 않는다.

이 장생은 인근의 죽정리국장생, 서구림리 메밀방죽 옆에 있는 ‘□長生(□장생)’과 서로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추측은 ≪동국여지승람≫ 불우조(佛宇條)에 “도갑사 사하동(寺下洞) 입구에 두개의 입석이 있는데, 각각 ‘國長生(국장생)’과 ‘皇長生(황장생)’ 3자가 새겨져 있다.”는 기록과, 국장생 하부에 새겨진 ‘石標四坐(석표사좌)’라는 글씨내용에서 바로 4좌와 관련되었을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황장생이나 국장생이 언제 만들어졌는지 알 수 없지만, ‘長生(장생)’이라는 표기는 신라와 고려 전기에 사용되었고, 고려말 이후 조선조에는 ‘長嶠(장생)’이라는 표기가 일반화되었다. 이로 미루어 황장생의 건립시기는 고려 전기 이전으로 소급될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 황장생과 관련하여 전해오는 이야기로는 예전에는 큰 초가집 터 장독대 옆에 있었고, 매년 정월대보름이면 촛불을 켜놓고 술을 올려 치성을 드렸다고 한다. 구전내용을 통해보면 약간의 위치변동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사찰장승이 민간신앙과 결부되는 현상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1986도지정문화재조사보고서 1(전라남도, 1986)
남녘의 벅수(이종철, 김향문화재단, 1990)
문화재도록-도지정문화재편-(전라남도, 1992)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종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