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일상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호조 판서, 판의금부사, 좌참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성초(聖初)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21년(경종 1)
사망 연도
1792년(정조 16)
본관
동래(東萊)
주요 관직
좌참찬
정의
조선 후기에, 호조 판서, 판의금부사, 좌참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성초(聖初). 정재후(鄭載厚)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정제선(鄭濟先)이고, 아버지는 판서 정형복(鄭亨復)이다. 어머니는 민항(閔恒)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50년 생진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1774년(영조 50)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같은 해 교리에 제수되는 특진의 영광을 얻었는데, 이는 영조가 그의 부친이 사망했을 당시 크게 애도하면서 친히 제문을 직접 지어보내는 한편, 그의 아들을 발탁하여 서용하라는 특명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듬해 승지, 호조참판을 거쳐 비변사당상을 지내는 등 2년만에 당상관의 반열에까지 오르는 고속 승진을 하였다. 정조가 즉위한 이후에도 중용되어 1776년 3월 경희궁 내의 어제봉안각영건도감(御製奉安閣營建都監) 당상으로 참여했으며, 1777년(정조 1)에 대사헌에 올랐다.

이듬해에는 전임 진주사(陳奏使)가 가지고 간 주문(奏文) 내용 가운데 ‘저군사위(儲君嗣位)’라는 문구를 청(淸)에서 문제삼자, 이를 해결하기 위한 사은겸진주사(謝恩兼陳奏使)를 파견하게 되었는데, 이 때 부사에 임명되어 채제공(蔡濟恭)과 함께 연경(燕京)을 다녀오기도 하였다.

이후 경기도관찰사·전라도관찰사·이조참판·공조·예조·형조·호조판서, 판의금부사, 좌참찬 등의 요직을 역임하였다. 1783년(정조 7) 그는 종부시제조로서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記略)』·『팔고조도(八高祖圖)』·『왕비세보(王妃世譜)』 등의 편찬 및 교정을 주도하였다. 그러나 『선원계보』에 정종(正宗)의 다섯 번째 딸인 정안옹주(貞安翁主)부터 정화옹주(貞和翁主)를 다음 항렬에 잘못 기재하는 오류를 범해 제조에서 파직되었다.

그는 왕의 두터운 신임을 바탕으로 1782년 정경(正卿)으로서 관북의 도과(道科) 시관(試官)이 되었으며, 존호도감제조·책례도감제조·영접도감제조 등 중요한 국가대사를 주도적으로 수행하였다.

참고문헌

『영조실록(英祖實錄)』
『정조실록(正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집필자
임민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